필자는 수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왔고, 주위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봐왔습니다.
그러면서 성공한 프로젝트와 실패한 프로젝트도 많이 봐 오면서 그 차이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해 왔습니다.
물론, 성공한 프로젝트는 모두들 알고 있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상세하고 꼼꼼한 일정관리, 꾸준한 리스크관리, 인력관리, 품질관리 등등 이미 알려진 것들입니다. 비단 S/W 프로젝트가 아니더라도, 빌딩을 만들 때도 당연히 필요한 프로젝트 관리의 요소들입니다.
그런데, 유독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종종 벌어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것이 프로젝트에 큰 리스크가 되고 프로젝트를 실패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바로 "프로젝트를 연습처럼 생각한다"는 겁니다. 연구, 공부처럼 생각합니다.
"요즘 Python이 인기인데, A모듈에서는 Python을 써야겠다."
"이번 프로젝트는 UML로 설계를 하겠다."
"Flex로 UI를 만들면 쉽다고 하는데, Flex를 쓰자"
"A라는 DB가 빠르고 가볍다고 하는데, 그걸 써보자"
"요즘 B기술이 대세인데, 어차피 공부해야 할 거 프로젝트 하면서 배우자"
실제로 개발자들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많이 배우는 것이 사실이지만, 거의 경험이 없는 기술을 단지 "배우기 위한 목적"이나 "좋아 보여서" 사용한다면 이는 프로젝트에 큰 리스크가 될 수 있습니다.
필자는 개발자들에게 늘 강조하는 것이 "프로젝트는 연습이 아니다.", "프로젝트는 검증된 기술을 가지고 하는 것이다."입니다. 물론 검증된 기술과 아닌 것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이는 경험으로 판단해야죠. 충분히 성공할 수 있는 기술의 조합으로 프로젝트를 해야죠. 그렇다고 하더라도, 프로젝트 중간에는 수많은 변수들이 있어서 성공이 보장된 것이 아닙니다. 아직 검증이 안되었지만, 프로젝트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면, 미리 또는 요구분석 시에 Prototype을 만들어보면서 검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기술을 다 검증할 필요는 없지만, 검증이 필요한 기술을 프로젝트에 직접 사용할 경우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또 개발자들이 충분히 연습이 되어 있지 않아서 능숙하게 사용하지 못한다면, 일정을 지연시키는 큰 원인이 됩니다. 이런 경우는 이미 익숙한 옛날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나은 경우가 많습니다.
Research Project라면 얘기가 다르죠. Research Project의 목적은 연구이기 때문에 검증 안된 기술을 얼마든지 사용해도 되죠. 이 경우 요구사항의 상세도도 일반 프로젝트와 다르고 일정의 중압감도 다르기 때문에 기술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평상 시에 크고 작은 Research Project를 자주 수행해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풍부하게 보유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연습이라고 생각한다면, 프로젝트 실패로 가는 지름길로 가고 있는 것입니다. 자신이 지금 어떤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지 잘 구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