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혁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혁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6월 6일 금요일

평등한 토론이 SW혁신 만든다

소프트웨어에서 창의적인 혁신은 천재 한 사람의 머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여러 직원들의 격 없는 평등한 토론에서 탄생하는 것이다. 이런 토론 문화 없이 혁신적인 소프트웨어가 탄생하기는 어렵다. 이는 비단 소프트웨어만의 문제는 아니다. 

우리는 흔히 회의를 하면 침묵을 지키는 사람들이 많다. 좋은 아이디어를 얘기하면 “그래, 네가 꺼낸 아이디어니까 네가 책임지고 완료해봐”라고 시키기 일쑤다. 꺼낸 얘기에 대해서 상사에게 면박을 당하기도 하고 교장님 훈시처럼 얘기를 듣고 있어야 하기도 한다. 이런 일이 반복되다 보니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얘기를 안하고 점차 시키는 일만 하게 된다. 

옛말에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는 말이 있지만 회의 분위기를 이렇게 만드는 회사에서는 혁신과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상사의 문제도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어려서부터 토론 훈련이 안되어 있어서 회사에서도 토론이 어렵다. 나도 마찬가지로 그런 환경에서 자라왔다. 그런 토론 훈련 없이 직장에서 동료들과 토론을 하다 보면 권위의식을 내세워서 토론을 망치곤 한다. 

우리나라가 원래 이렇게 토론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고대 그리스 때도 교육의 기본은 토론이었듯이 공자도 제자들과 열띤 토론을 했듯이 우리나라도 조선시대에는 토론이 중요한 교육의 중심이었다. 우리나라에 토론이 사라지고 “상명하복”만 남게 된 결정적인 이유가 전쟁과 군사정권을 거치며 군대식 문화가 교육에도 적용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때도 열심히 외워서 시험을 잘 보면 되지 논리적으로 얘기를 해서 누구를 설득할 필요가 없었다. 

지금이라도 마음먹고 평등하고 자유롭게 토론을 하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훈련이 안되어 있으면 몸에 벤 습관이 툭 튀어나오게 되어 있다. 문화라는 것이 누구 하나 바뀐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서 토론 문화도 마찬가지로 한사람이 아무리 평등하고 자유로운 토론을 하자고 부르짖어도 상사 한사람이 분위기를 망칠 수 있다. 평등한 토론을 하려면 모두가 바뀌어야 한다. 

좋은 토론 문화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남의 얘기 경청하기, 논리적으로 설득하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주제에 집중하기, 좋은 남의 의견을 받아들이기, 창의적이고 자유롭게 얘기하기, 서열과 관계없이 어떠한 얘기라도 하기 등이다.

반대로 나쁜 토론 문화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권위 내세우기, 비 논리적으로 얘기하기, 과장해서 판단을 흐리기, 잘못된 정보를 얘기하기, 남의 얘기 끊고 끼어들기, 면박주기, 무조건 딴지 걸기, 침묵하기, 화내기, 우기기, 때쓰기, 남의 얘기를 전혀 받아들이지 않기, 인식공격하기, 비방하기, 주제에서 벗어난 딴 얘기 하기, 떠넘기기다.

나쁜 토론 문화는 나도 수많은 회의에서 실제로 경험한 것들을 적은 것이며 이런 곳에서는 교장선생님 훈시 수준을 못넘는 회의를 하며 혁신은 꿈도 꾸지 못하는 회사 분위기를 만든다. 

사장과 말단 개발자가 격이 없이 자유롭게 토론하고 그 속에서 혁신이 튀어 나오는 외국 소프트웨어 회사를 어떻게 따라 할 수 있을까? 어려서부터 토론을 훈련 받은 그들을 어떻게 따라 할 수 있을까? 서열과 권위의식이 별로 없는 환경에서 평등하게 하는 토론을 어떻게 따라 할 수 있을까? 

뾰족한 수는 없고 권위의식을 버리고 서열문화를 버리고 평등한 토론을 훈련하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평등한 토론 문화를 위해서 모든 직원의 직급을 없애고 영어 이름을 부르는 회사가 있다. 사장이 스스로 나서서 권위의식을 없애고 평등한 토론문화를 만들어 가는 회사도 있다. 이런 회사의 토론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반말하는 사람 없이 서로 존칭을 하며 직급 없이 이름을 부른다. 일단 외형적으로 평등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내용적으로도 자유로운 토론이 이어지며 좋은 토론 문화를 만들어나가기 위해서 노력한다. 나쁜 토론 문화는 보이는대로 제거하기 위해서 애쓴다. 

이는 평등한 토론 문화가 중요하다는 회사의 경영자들의 생각과 의지에서 비롯된다. 소프트웨어 회사는 혁신 없이는 도태된다. 모든 직원들의 창의력을 밑바닥에서부터 끌어낼 때 혁신이 나올 수 있다. 토론 문화는 상명하복이 완전히 고착된 우리나라 큰 기업들이 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을 이기기 어려운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다. 반짝 이길 수는 있어도 직원들이 불행하게 일하면 지속적으로 이기기는 어렵다. 직원들이 행복하게 일하면서도 혁신과 성장을 하려면 평등한 토론 문화가 꼭 필요하다. 

이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2009년 7월 28일 화요일

변화하지 못하는 회사들의 공통점

회사가 변화하지 못한다는 것은 더 이상 발전이 없고 점점 쇠퇴해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변화하지 못하는 회사들은 항상 핑계를 대기 마련입니다. 어떠한 종류의 핑계들을 대며 변화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회사들의 공통점을 얘기해보죠.


첫째, 항상 바쁩니다.

주먹구구식으로 일을 하면서 항상 바쁘고, 또 바빠서 변화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합니다. 물론 핑계죠. 지금과 같이 일을 하면 계속 더 바빠지고 뒤죽박죽이 될 것이므로 혁신을 해나가야 하는데, 이를 핑계로 개발자들이 경영자에게 겁을 주면 대부분 잘 넘어갑니다.


둘째, 자기 회사는 매우 독특한 줄로 착각합니다.

1명짜리 소프트웨어 회사나 1,000명짜리 소프트웨어 회사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원리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금융이라서 안전성이 매우 주요해서 프로세스는 도입할 수 없다. 우리는 포탈이라서 신속히 개발을 해야 하므로 문서를 쓸 시간이 없다. 우리는 게임을 만들기 때문에 일반적인 개발 방법은 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온갖 핑계를 댑니다. 물론 기존의 방법이 익숙하고 변화는 귀찮은 일이지만 변화하지 않고는 살아남기 어렵죠.


셋째, 경영자가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릅니다.

물론 경영자자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서 개발자만큼 속속들이 잘 알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CTO를 두는 것이고 CTO가 없다면 경영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전체를 보는 눈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영자들은 개발자에게 속아넘어가기 십상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CTO를 제대로 두고 있는 회사가 별로 없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설령 CTO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역할과 파워가 많이 축소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넷째, 회사에 파벌과 정치가 난무합니다.

회사의 변화는 Global 경쟁력을 갖춰나가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이 되어야 하지만, 정치가 난무하는 회사는 각 파벌들의 이익에 따라 회사가 좌지우지 됩니다. 이러한 회사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승자에 편승하거나 떠나야죠. 정치판에 오래 몸을 담그면 자신도 물들어서 빨리 떠나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개발자들이 우물 안에 개구리입니다.

개발자들이 자신의 실력을 과대포장하여 경영자들을 현혹하고 자신의 기술이 최고인양 착각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개발자들이 포진해 있는 회사는 아주 왜곡된 결과물들을 낳으며 금방 밑천이 드러나게 됩니다. 이러한 개발자일수록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서 경영자를 쉽게 속이려고 합니다.


이 외에도 과거에 잘못된 방향으로의 변화 시도에 대한 아픈 기억들을 가지고 있어서 변화에 두려움을 갖고 있는 회사들도 있고, 방법을 몰라서 고민하는 회사도 있고, 재정적으로 충분한 여유가 없어서 가만히 있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변화하지 않으면 점점 후퇴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