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국제화에서 가장 중요하며 많은 비용이 드는 것이 번역이다.
번역도 전략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번역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영어 버전을 먼저
우리는 흔히 한국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먼저 만들어 놓고, 나중에 영어 버전을 만들곤 한다.
이렇게 되면 메시지의 key가 한국어가 된다.
영어와 한국어 2개의 언어만 지원을 할 때는 문제가 안된다.
하지만, 여기에 프랑스어 하나를 추가하면 문제가 된다.
번역가에게 한국어를 프랑스어로 번역하도록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번역한 영어를 주고 프랑스어로 번역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항상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한 후에 다른 언어로 번역을 해야 하는 2단계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영어 번역을 수정하면 다른 모든 언어의 번역을 다시 수정해야 한다.
그래서 전세계 거의 모든 번역가 표준의 삼는 영어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소프트웨어의 첫번째 버전은 영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야 하며, 한국어버전만 필요한 경우에도 미래에 국제화가 필요하다면 영어, 한국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야 한다.
만약에 영어를 잘 못하는 개발자라면 영어 메시지를 만들어내기 어려울 수 있다.
요즘은 Google번역기와 같은 자동 번역기의 품질이 상당히 좋아서 한국어를 바로 영어로 번역할 수 있다. 검토 후에 문제가 없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영어 검수는 추후 일괄적으로 한번 하면 되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메시지 입력 시 자동번역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번역 프로세스
주변에서 흔히 벌어지는 소프트웨어 번역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 1년에 걸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한다.
- 2개월에 걸쳐서 소프트웨어를 번역한다.
- 1개월에 걸쳐서 테스트를 한다. 번역이 잘못된 것을 발견한다.
- 번역을 수정하고, 다시 테스트를 하고 출시한다.
이렇게 하면 계획된 일정에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기 어렵다.
번역을 마지막에 한꺼번에 하게 되면 화면 배치가 많이 깨져서 대대적인 수정을 해야 한다. 똑같은 문장이라도 한국어는 대체로 짧다. 한국어를 영어, 특히 독일어로 번역을 하면 2배 또는 3배까지 길어진다. 그래서 번역을 고려하여 UI 배치를 해야 한다.
소프트웨어가 70% 정도 개발이 되었을 때 먼저 1차로 번역을 하고, 90% 정도 개발이 되었을 때 2차 번역을 한다. 마지막으로 구현이 완료 되었을 때 최종 번역을 한다.
이렇게 70%, 90%, 100% 단계별로 번역을 하면, 소프트웨어 구현과 거의 동시에 번역도 완료가 되어 있어서 번역 때문에 소프트웨어 출시가 늦어지는 일은 없다.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을 세울 때 번역 일정도 같이 수립하고 번역 업체도 미리 섭외하여 일정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번역 방법
번역을 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비교하여 선택하자.
전문 번역자(회사) 이용
소셜 번역
자동 번역기
정확한 번역
번역 검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