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17일 토요일

비대면 소프트웨어 개발에 가장 중요한 문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비대면 업무 방식이 확대되고 있고 소프트웨어 개발도 비대면 개발 방식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비대면 업무 방식은 업무 효율성 증대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가 아니라도 도입이 필요하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인 깃랩은 코로나 이전에도 1300명 전직원이 재택근무를 했고,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소프트웨어 회사도 코로나19 이전부터 상당수의 직원이 풀타임 재택 근무를 수행했고, 현재는 재택 근무를 대대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앞으로 전면 재택 근무로 전환하겠다고 하는 회사도 많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이전부터 비대면 개발이 가능한 형태로 일을 해왔기 때문이다.

비대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는 시스템, 프로세스, 문서, 문화 등 여러가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중에서 문서는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프로젝트에 따라서 다르지만 여러가지 문서를 작성한다. 이중에서 비대면 개발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문서는 무엇일까?


비대면 개발에 가장 중요한 문서는 스펙


필자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문서는 “스펙”이다.

“스펙”은 비대면 개발을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고 소프트웨어 개발 전체에 가장 핵심적인 문서이다.

과거 80년대 전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공학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스펙”을 꼽았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수많은 대기업들이 글로벌 회사로 성장하면서도 소프트웨어 개발의 문제를 겪으면서, 방법론, 프로세스, 고가의 툴 등을 도입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으나, 기대만큼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몇몇 회사들은 “스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펙” 작성 역량에 투자를 하고 있다.

많은 회사들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대략의 요구사항을 가지고 개발자들이 밀접히 접촉하여 의논하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스펙” 문서를 주고, 자신이 담당한 부분을 나눠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일할 수 있는 회사는 그렇게 많지 않다. 이유는 “스펙” 문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애자일이나 스크럼 방식으로 개발을 하는 경우 과거처럼 “스펙” 문서는 필요 없다고도 하는데, 그렇지 않다. 방식만 다를 뿐이지 “스펙”은 필요하다.

다같이 모여서 개발을 한다면 수시로 의논하며, 조율하여 개발을 해나갈 수 있지만, 비대면 개발을 한다면 그렇게 할 수 없다. 자신이 개발할 부분이 명확하게 정의가 되어 있어야 서로 떨어져서 개발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스펙 문서가 없이 개발하거나 대략의 요구사항을 가지고 서로 모여서 조율해가면서 개발하는 방식에 익숙한 대부분의 회사들은 비대면 개발을 할 수가 없다.

그럼 코로나 이전에도 1300명의 전직원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깃랩이나, 수많은 직원이 집에서 일하고 있었던 구글이나 페이스북은 어떻게 진작에 비대면 개발을 광범위하게 수행하고 있었을까?

시스템, 프로세스, 문화, 문서 등 여러가지 요소가 있지만, 잘 작성한 스펙이 그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딩은 개발 단계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하는 단계다. 많은 개발자가 서로 떨어져서 일할 수 있도록 스펙을 잘 작성해서 공유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는 스펙을 잘 작성하는 것이 소프웨어 개발에서 가장 어려운 주제라는 것이다. 국내 많은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도 스펙 작성의 어려움이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스펙 문서는 꼼꼼하게 모든 것을 방대하게 작성하는 것이 잘 작성하는 것도 아니고, 간단하게 작은 문서로 작성하는 것이 잘 작성하는 것도 아니다. 방대한 템플릿을 꼼꼼하게 채우는 것이 올바른 방법도 아니다.

스펙의 역할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발자 관점에서는 스펙 문서를 보고 자신이 개발한 부분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잘 작성한 스펙 문서가 어떤 것인지는 칼럼에서 짧게 다룰 수 있는 주제는 아니다. 그래서 여기서 스펙 문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겠다.

거대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공학 이론에서도 소프트웨어 스펙을 작성하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다루고 있고, 이를 따라하면 방대하고 복잡한 스펙을 작성해야 한다. 하지만 깃랩, 구글, 페이스북이 이런 방식을 따르고 있지 않다. 이론은 이론일뿐, 실전적인 방법으로 스펙을 작성하고 있다. 대부분의 회사는 이런 이론을 따라하다가는 백이면 백 실패한다.

스펙을 작성하는 방법은 피아노와 골프를 배우듯 실전적인 방법을 배워나가야 한다.

10배의 비용과 시간을 들여서 완벽하게 자세한 스펙문서를 작성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대부분의 실제 프로젝트에서 그런 방법은 쓸모가 없다.

최소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스펙을 작성하는 것이 실전적인 방법이다. 


스펙은 목적은 소프트웨어를 최단 시간, 최소 비용으로 개발하기 위한 것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스펙을 잘 작성하는 목적은 소프트웨어를 최단 시간, 최소 비용으로 개발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거대 방법론에서 제안하는 수십가지의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은 실전적인 프로젝트에서 효용성이 떨어진다. 많은 회사가 이 방법을 시도했다가 포기하거나 프로세스는 따르지만 정작 소프트웨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가 계속 되곤 한다.

아직도 많은 회사들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계획된 일정에 끝내지 못한다. 그래서 계획된 사업 로드맵에 맞춰 제때 소프트웨어가 출시되지 못해서 많은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또한 출시된 소프트웨어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프트웨어 회사의 사업을 영위하는데 큰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언급하는 프로세스, 툴, 품질, 설계, 형상관리 등 여러가지가 다 필요하고 이러한 것들은 충분히 확보가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어려운 “스펙"을 작성하는 역량을 확보하지만 않으면 넘을 수 없는 벽에 부딪히게 된다.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2류까지는 가능할지 몰라도 1류가 되기는 어렵다.

그래서 나는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문제를 해결하고 구글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싶다면 개발자들이 스펙을 제대로 작성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펙은 분석 아키텍트가 혼자서 스펙이라는 문서를 달랑 작성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스펙을 제대로 작성한다는 것은 회사 전체가 같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모든 관련자가 요구사항을 충분히 수집에 협조하고, 여러 전문가가 참여를 하며 작성된 스펙 문서에 대해서 관련자들이 철저히 리뷰를 하고 변경관리도 제대로 해야 한다. 모든 직원들은 스펙 문서를 이해하고 읽고 이에 따라서 일할 수 있어야 하고, 개발자는 스펙 문서를 파악하고 떨어져서 개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행을 갖추려면 많은 노력과 오랜 시간이 걸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방법론, 툴이 아니고 문화, 습관, 인식의 변화다. 또한 이런 것을 이끌려면 경영자의 강력한 의지도 중요하다. 몇년전 국내 S사에서 소프트웨어 역량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내부에서 분석아키텍트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는데 이런 활동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시간이 오래 걸리겠지만, 꾸준히 노력하면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추는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대기업보다 움직이기 수월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은 노력여하에 따라서 스펙 작성 역량을 확보하기 더 용이하다. 소프트웨어 1류가 되고 싶다면 스펙에 관심을 가지고 스펙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2020년 9월 18일 금요일

진짜 비대면 업무 방식 vs 가짜 비대면 업무 방식

 최근 코로나 19 때문에 비대면 업무 방식으로 전환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면서 비대면 업무 방식을 많이 추진하고 있는데,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고 있는 회사도 많다.

비대면 업무 방식은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코로나 19가 아니더라도 도입이 권장된다. 그러면 진짜 비대면 방식으로 일하고 있는지, 가짜 비대면 방식으로 일하고 있는지 9가지 지표로 알아보자. 


툴, 시스템


재택근무를 도와주는 솔루션만 도입했다고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것이 아니다.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완전한 비대면 업무 방식으로 일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스템과 툴을 충분히 도입하지 않아서 여기 저기 구멍이 있는 경우다. 그래서 수시로 메신저나 이메일로 업무를 물어봐 가면서 처리하고 시스템을 따라 업무가 유기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또, 부서마다 사용하는 툴이 다른 경우도 있다.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시스템이 이슈 관리 시스템인데, 이것을 부서마다 다른 것을 쓰거나 일부 부서만 사용하는 경우다. 그러면 업무 협조 시 상황에 따라서 써야 하는 시스템이 달라서 매우 번거롭고 업무가 물 흐르듯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필요한 시스템과 툴이 촘촘히 잘 구축되어 있고, 서로 연동이 잘 되어 있고, 모든 직원이 동일한 시스템을 쓰며, 내재화가 잘 되어 있다. 그래서 업무가 매끄럽게 흘러가고 한 두개의 대시보드에서 자신의 업무가 다 모니터링 되고, 관리자는 부서의 업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 들어본 시스템과 툴이지만 전사적으로 제대로 구축하여 잘 쓰는 것은 매우 어렵다.


문서 관리


비대면 업무 방식을 주장하면서 문서를 개별 PC에서 작성해서 이메일이나 메신저로 서로 주고받으면서 공유하고, 관리를 하고 있다면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는 문서 공유 시스템을 쓰기는 하는데, 부서별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해서 타부서와 문서를 공유할 때는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으로 파일을 전달하는 경우도 있다.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려면 전사의 모든 문서를 하나의 문서 관리시스템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부서별 업무별로 권한 관리를 잘하여 보안 상으로도 문제가 없어야 한다.

문서의 작성, 협업, 리뷰, 관리, 공유 등 모든 작업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가 되어야 효율적인 비대면 업무를 할 수 있다. 


문서 작성 역량


비대면 업무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문서 작성 역량도 매우 중요하다.

문서를 많이 작성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대면 업무 방식에서는 문서의 내용이 부족하면 수시로 옆에서 물어가며 일할 수 있지만 비대면 방식에서는 그렇게 하기 곤란하다.

기획 문서, 스펙 문서, 설계 문서 등 여러 종류의 문서들이 문서만 가지고 충분히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00%는 불가능하지만, 80~90% 문서로 충분히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런 문서도 문서 관리시스템에서 협업과 리뷰를 통해서 만들어지므로 잘 작성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문서를 가지고 일하기 어려워 일할 때 커뮤니케이션이 너무 많이 필요하다. 그래서 옆에 앉아서 같이 일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외주를 줄 때 스펙 문서를 기반으로 외주를 주지 못한다. 대략의 기획 문서를 기반으로 외주를 준 후에 요구대로 소프트웨어가 개발이 잘 안되니 옆에 끼고 설명을 해주거나 나중에 프로젝트 일정이나 품질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다반사다.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모두 말보다는 문서 위주로 일하기 때문에 문서를 제대로 작성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그래서 채용 시 글을 잘 쓰는 사람을 뽑기도 하고, 직원들에게 글을 잘 쓰고 문서를 잘 작성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물론, 비대면 업무를 계속 하면서 문서 작성을 계속 하고 리뷰를 거쳐 피드백을 많이 받게 되면 누구나 문서 작성 역량이 조금씩은 향상된다.


보고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별도의 보고가 많이 줄어든다. 또한 보고를 위한 보고는 보기 어렵다.

별도의 보고가 따로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촘촘하게 커버되는 시스템에서 업무의 진행 상황을 훨씬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직원들도 별도의 시간을 들여서 보고서를 작성하지 않고 본연의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다. 

하지만,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업무는 업무대로 다하고, 일일보고, 주간보고 등 여러 형태로 보고서를 작성해서 보고를 해야 한다. 보고 방식은 온라인이라 할지라도 낭비요소가 아닐 수 없다. 

관리자는 또 상위 관리자에게 보고를 하기 위해서 직원들의 보고를 취합하여 또 보고를 한다.

보고를 줄이는 것은 진짜 비대면 업무 방식의 증거이자 혜택이다.


화상 회의 빈도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형식만 비대면이지, 수시로 화상 회의를 실시하여 대면 업무 방식과 별 차이 없이 일한다.

화상 회의는 실제 만나서 얘기하는 것보다는 전달성이 떨어지지만 이동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화상 회의를 너무 자주 한다면 차라리 모여서 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회상 회의를 해야 하는 안건이 대부분 이슈 관리 시스템이나 여러 시스템에 온라인으로 등록되고 프로세스를 따라서 처리되며 화상 회의는 꼭 필요할 때 최소화해서 해야 한다. 그래야 진짜 비대면 업무 방식으로 일한다고 할 수 있다.

회상 회의도 비싼 수단이다. 하루의 10~20% 넘는 시간을 화상 회의에 사용하고 있다면 일단 의심을 해보자.


회의 결과 관리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회의도 자주 하지만 회의 기록이 없거나 회의 결과 해야 할 업무의 추적이 잘 안된다.

그러고는 한참 있다가 “지난 번에 내가 시킨 일 어떻게 되고 있지?”하고 묻는다. 전형적인 대면 업무 방식과 다를 바가 없다.

회의를 자주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회의를 계획하에 하지 않고 수시로 소집하기 때문에 회의록도 제대로 남기지 않고 후속 관리도 잘 안된다.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에서는 회의 빈도도 적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회의는 미리 계획이 되어 있고 회의 결과가 제대로 정리, 공유되어 있다. 또한 회의 결과로 인해서 해야 할 일은 회사의 온라인 시스템에 등록되어 실시간으로 추적이 된다. 

회의록만 보아도 후속 업무의 처리 현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회사의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서 소스코드를 볼 때 특정 소스코드의 한 줄만 보아도 해당 줄을 누가 언제 작성해서 관련된 요청은 언제 누가 했으며, 이와 관련된 회의는 언제 누가 진행했고, 결론은 어떻게 나왔는지 줄줄이 모두 몇번의 클릭으로 추적이 된다. 그래서 누가 와서 유지보수를 해도 소스코드의 역사를 훤히 볼 수가 있다.


메신저 사용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메신저를 끼고 업무를 한다. 회상 회의까지는 아니지만, 수시로 여러 사람에게 메시지를 날리고 이거 저거를 물어본다. 회상 회의보다는 작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답변을 하기 위해서는 하던 일을 중단해야 한다. 만약에 집중 업무를 하고 있던 경우라면 다시 집중하는데 필요한 시간까지 최소 30분은 그냥 날아간다. 이런 일이 한 두 건이면 모르겠지만, 메신저를 통해서 메시지가 여기저기서 수시로 쏟아지면, 정작 집중해서 본연의 업무를 할 시간이 부족하다.

메신저의 문제점 중 하나가 기록이 체계적으로 남지 않아서 회사의 정보 자산으로 축적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래서 메신저는 정보 자산과 관련 업무를 위해서 가벼운 용도로만 최소화해서 사용해야 한다.

편리하다고 수시로 메시지를 날리는 것은 대면 업무 방식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업무 만족도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현재 회사에서 진행하는 비대면 업무 방식에 불만이 많다. 아무래도 과거 대면 방식보다 불편하고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시스템이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은 채로 강제로 몰아붙일 수도 있고, 역량은 안되는데 과도하게 시스템을 도입한 경우도 있다. 

직원들이 충분히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려면 추가로 시스템이 필요한지, 직원들의 문서 작성 역량 향상이 필요한지, 시스템 사용 교육이 더 필요한지 회사에 따라서 다를 것이다.

대면 업무 방식으로 오랫동안 일하던 회사가 하루 아침에 완전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하기는 어렵다. 인식의 전화, 시스템 사용 적응, 문서 작성 역량 등 필요한 것이 한두개가 아니고 수년 걸리는 일도 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하나씩 하나씩 꾸준히 추진하는 수밖에 없다.


재택근무 가능 여부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100% 재택 근무를 하지 못한다. 최근 뉴스에 100% 재택 근무를 하고 있는 미국의 많은 회사를 접한다. 1200명 전원이 회사 사무실 하나 없이 100% 재택 근무를 하는 깃랩도 있고, 구글, 페이스북도 100% 재택근무를 하는 직원이 꽤 많다.

하지만 가짜 비대면 업무를 하는 회사는 일주일에 1~3일 정도 재택근무를 하고 나머지는 회사에 나와서 일해야 한다. 또는 재택근무가 가능한 특수한 직군만 100% 재택 근무가 가능하다. 최근 코로나 때문에 이런 식으로 일부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가 있다.

물론 재택근무가 100% 우월한 것은 아니다. 대면 업무 방식은 얼굴 보고 일하면서 팀워크가 증가하는 것도 있고, 생활 리듬에 안정을 주는 것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얘기하는 것은 필요할 때 재택근무를 할 수 있냐는 것이다.

100% 재택근무가 가능해야 진짜 비대면 업무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역량을 가지고 모여서 일하는 것은 회사의 선택이다.


이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2020년 9월 7일 월요일

비대면 온라인 화상 회의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코로나 19로 인해서 비대면 업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회의도 비대면으로 진행해야 하는 요구가 커졌다. 인터넷을 통해 화상 회의를 하는 여러가지 시스템이 있고, 이런 시스템을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비대면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현재 비대면 온라인 화상 회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의 가치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회상회의 서비스 회사인 줌(Zoom)은 최근 IBM의 시가 총액을 추월했다. 


코로나 19가 아니더라도 회의를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것은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먼저 비용이 더 적게 든다. 대면 회의는 한자리에 사람들이 모이려면 이동 시간도 필요하고, 넓은 회의 공간도 필요하다. 회의실도 제약이 있어서 원하는 시간에 회의를 못하고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 앞 회의가 늦게 끝나서 기다리느라고 시간을 낭비하기도 한다.  


하지만 온라인 화상 회의는 회의실도 필요 없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도 시간만 정하면 언제든지 회의를 할 수 있고 업무 효율성 면으로 많은 이익이 있다. 


오랫동안 온라인 화상회의에 익숙해진 회사라면 문제가 없지만 온라인 회의를 처음 도입하는 회사라면 막상 온라인으로 화상 회의를 진행해보면 오프라인 대면 회의와는 다른 점이 많다. 이것을 비교해보고 효율적으로 비대면 회의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화상 회의의 단점


회상 회의는 인터넷을 통하기 때문에 0.5초~1,2초 정도의 시간 지연 효과가 있다. 내가 말한 후 약 1초 정도 후에 상대방이 듣는다는 의미다. 그래서 서로 얘기를 하다 보면 말이 서로 겹치고 꼬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대면회의처럼 서로 중간에 말을 끊고 열띤 토론을 하다 가는 뒤죽박죽이 된다. 그래서 화상 회의에서는 말하는 에티켓을 지켜야 한다. 한사람이 너무 오래 말을 하는 것도 좋지 않고, 중간에 말을 끊는 것도 좋지 않다. 한사람이 말을 하고 나서 동시에 두사람이 말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회상 회의 시스템에는 “손들기”기능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손을 든 순서대로 발언의 기회를 주기도 한다. 회사에서 화상 회의 때 발언하는 규칙이나 에티켓을 정해서 시행하면 좋다. 


화상 회의를 하다 보면 소리가 울리는 하울링이나 시스템 문제 때문에 중간에 회의가 중단되는 일을 여러 번 겪게 된다. 그래서 가능하면 회상 회의 장비는 좋은 것을 갖추고 네트워크도 충분히 갖추는 것이 좋다. 비용을 조금 아끼려다가 툭하면 회의가 중단되어서 더 큰 비용을 지불하기도 한다.  


화상 회의의 단점 중 하나는 아무래도 대면으로 얘기하는 것보다 전달력이 떨어진다. 미묘한 표정의 변화를 읽기가 어렵고 소리가 100% 깨끗하게 전달되지 않거나 잡음이 좀 섞이기도 해서 대면 회의보다는 떨어진다. 따라서 회의 내용을 명확히 정의하고 안건을 해결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좋다.  


화상 회의의 장점


가장 큰 장점은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다. 회의실이 필요 없고, 한자리에 모일 필요가 없으니 이동 시간이 절약된다. 한 빌딩 안에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이동 시간은 더욱 절약된다. 해외 지사의 인원이나 재택 근무자와도 이동없이 바로 회의를 할 수 있다. 회상 회의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회상 회의를 통한 비용 절약은 비용을 넘어서고도 남는다. 


회의를 녹화 또는 녹음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재검토를 할 수도 있고, 비참석자도 회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회의는 급한 안건으로 긴급하게 회의를 소집할 때 매우 유리하다. 빠르면 10분안에도 서로 다른 곳에 있는 사람들을 모아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대면 회의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신속함이 가능하다.  


 회상 회의에서 지켜야 할 사항


화상 회의도 편리하다고 아무 때나 마구 진행하면 비싼 비용을 치러야 한다. 미리 스케줄러에 계획을 하고 명확한 아젠다를 정의하고 가능하면 24시간 이전에 공유를 해야 한다. 모든 참석자는 아젠다를 철저히 검토하여 자신의 의견을 정립하여 참석해야 한다. 아젠다에 미리 의견을 첨부하여 회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것은 고스란히 회의록으로 이전된다. 


온라인 화상 회의도 회의 주도자가 있어야 한다. 그래야 여러 의견 충돌 시 조율을 하고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회의는 핵심 이견만 논의하여 신속하게 결론을 내리면 된다. 온라인으로 공유하면 되는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서 굳이 회의를 개최할 필요가 없다.  


온라인 회의도 시간을 지켜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3시가 회의라면 적어도 5분전에 시스템에 접속을 해야 한다. 가끔, 문제가 생겨서 접속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그래서 5분전에는 접속을 시도해야 회의에 늦지 않을 수 있다. 이래저래 준비하느라고 5분, 10분 늦게 회의를 시작하는 것이 일상화된 회사가 종종 있다. 항상 일찍 접속해서 기다리는 사람은 항상 시간을 낭비하고 회사 입장에서도 큰 손해다. 


재택근무시 화상회의를 하게 되면 너무 편한 복장으로 접속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는 복장 정도는 입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나름 조용한 공간도 필요하다. 주변이 너무 시끄러워도 회의에 방해가 되고, 회의 때문에 시끄러워서 주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방해를 주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화상회의는 인터넷 속도의 한계상 지연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므로 상대방의 발언을 경청하는 습관을 들이고 중간에 끼어들지 않도록 하고 자신도 꼭 필요한 말만 간결하게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화상회의를 이렇게 진행하면 업무 효율성이 많이 향상된다. 


회의록을 작성하는 방법


화상 회의를 하면서는 회의록을 실시간으로 작성하기 좋다. 회의가 끝나고 회의록을 따로 작성해서 배포하고 검토하고 수정하고 하는 것은 꽤나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다. 그래서 회의 내용과 다른 회의록이 작성되기도 한다. 회의록은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은데, 회상 회의 때 회의 진행자가 회의록을 직접 작성하기를 추천한다. 아젠다를 띄워 놓고 직접 수정해가면서 회의록을 작성하면 좋다.  


회의록은 실시간으로 작성해서 모든 참석자가 실시간으로 눈으로 보면서 문구 하나하나 검토해서 의견이 다르면 회의록 수정을 요청해서 이것도 즉석에서 다시 적어야 한다. 회의록을 즉석에서 적고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도 있다. MS 팀즈에는 위키(Wiki)를 통해서 회의록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는 화면 공유를 통해서 위키나 회의록 시스템에 실시간 기록할 수 있다. 


회의록을 작성하면서 결정사항, 미결사항, 해야 할 일 등을 태그로 표시를 하고 추후 해야 할 일은 Todo 시스템과 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Atlassian의 Confluence의 회의록 시스템은 이런 기능이 잘되어 있다. 


간단한 일은 Todo와 연동하면 되지만 회의 후 해야 할 일이 꽤 큰 일이고 추적이 필요하면 이슈관리시스템과 연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야 할 일을 등록해 놓고 추적하지 않으면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 화상 회의는 이렇게 회의 준비, 과정, 결과, 후속 조치가 모두 온라인 시스템에 등록되어 회사의 자산이 된다. 그리고 지구상 어디에서든지 접근 가능한 정보가 된다. 온라인 회의가 제대로 정착되면 회사의 생산성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또한 비대면 업무로 전환하기 위한 강력한 무기가 된다.


이글은 ZDNet 코리아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2020년 8월 11일 화요일

효율적 비대면 업무를 위해 사용하면 안되는 5가지

 소프트웨어 개발 뿐만 아니라 모든 업무에서 비대면 방식을 지향하고 있는 회사에서 쓰면 안되는 것들이 있다. 흔히 쓰기도 하고 막상 편리하고 익숙하지만 사용하면 할수록 비대면 업무를 방해하는 것들이다. 이런 툴, 시스템, 방식은 투명한 업무, 공유, 추적, 협업에 저해되는 것들이다.

 

미국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비대면 업무 방식에 많이 적응해 왔다. 그래서 코로나19로 인해서 어쩔 수 없이 비대면 업무 방식으로 전환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무리 없이 비대면 업무를 적용하고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대대적인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고, 그 기간을 연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재택근무를 더욱 늘리고 재택근무 위주로 돌아가는 회사로 전환하려고 하고 있다. 이미 사무실도 하나 없이1,200명의 인원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GibLab이라는 회사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회사들은 주중에 하루, 이틀을 재택근무를 시도하거나 아예 시도조차 못하는 회사도 많다. 얼굴을 안보면 일이 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재택근무, 비대면 방식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프로세스, 인식, 문화 등의 개혁이 필요하다. 이와는 반대로 주의할 것도 있다.

 

그럼 효율적인 비대면 업무 진행을 위해서 사용하면 안되는 것들을 알아보자.

 

1. 내부 이메일 시스템

 

이메일 시스템은 회사에 꼭 필요하다. 외부 업체와 메일을 주고 받고, 직원들 간에도 업무를 할 때 이메일을 사용 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대면 업무 방식을 가로막는 가장 강력한 방해 요소이기도 하다.

 

결론부터 말하면 내부 직원끼리는 이메일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좋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업무 내용이 직원 간에 이메일로 유통되면 안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에서 직원간 이메일을 금지하면 큰 반발에 부딪힐 것이다.

 

이메일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직원들 간에 이메일로 업무를 하면 다른 직원과는 공유가 안되고 업무의 추적이 어렵다. 처음에는 둘만 아는 정보였다가 나중에는 두 사람도 잊어버리는 정보가 된다. 퇴사자가 발생할 때도 문제다. 퇴사자 이메일함에 있는 정보는 처치 곤란이다. 실수로 모두 지워 버리기도 한다. 나중에 필요할 수가 있어서 보관을 해 놓아도 찾기도 어렵고, 관리도 어렵다. 업무 정보가 이렇게 흩어지고 관리가 안되면 비대면 업무를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업무에 해당하는 내용은 절대로 이메일로 공유하면 안된다. 이슈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지식정보는 Wiki 등의 시스템에 정리하여 공유해야 한다. 

 

실제로 직원간 이메일을 완전히 금지한 회사도 처음에는 반발이 심했지만, 몇 개월이 지나 업무 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느낀 후에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고 한다. 

 

예외는 외부에서 메일을 받은 경우인데, 이 경우도 해당 메일을 이슈관리시스템에 등록하여 공유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귀찮지만 꼭 그렇게 해야 한다.

 

2. 개인 메신저, 채팅 

 

기업용 협업 시스템이 아닌 카카오톡 등의 개인 메신저를 사용하면 안된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업무 내용이 개인 메신저 시스템을 통해서 공유되고 유통되면 안된다. 공유, 관리, 추적이 안되기 때문이다.  

 

물론 업무 내용이 아닌, 잠깐 보자거나, 점심을 뭐 먹을지 등의 내용은 개인 메신저를 사용해도 된다. 하지만, 업무 관련된 의견을 물어보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등의 내용은 기업용 메신저를 사용해야 한다. 급한 것이 아니라면 이슈관리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기업용 메신저는 여러 사람이 볼 수 있고 투명하게 업무가 진행되며 회사의 정보 자산이 된다. 직원들의 감정 소비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개인 메신저는 업무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공식적으로 금지하는 것이 좋다.

 

3. 온라인화 되지 않은 문서

 

워드, 엑셀 문서들을 개인 PC에 저장해 놓고 완성본만 이메일로 전송하는 방식은 최악이다. 버전 관리도 안되고, 구버전의 잘못된 정보가 유통되기도 하고, 공유도 잘 안된다.

 

회사에서 생산되는 모든 문서는 회사의 공용 문서 관리시스템에 저장해서 관리해야 한다. 요즘은 클라우드에 회사 문서를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회사의 모든 문서를 온라인 시스템에서 관리를 하려면 정교한 전략이 필요하다. 공간 및 폴더 구조, 파일 이름 규칙, 권한 설정, 버전 관리 전략 등 수많은 해결 해야할 문제가 있다. 전략을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문서가 온라인에만 있지 뒤죽박죽인 경우도 있다. 그래도 개인 PC에 굴러 다니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퇴근 후 회사의 모든 PC가 불타 없어져도, 정보 자산 관리에는 문제가 없어야 한다. 복구하는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런 기준으로 문서를 온라인에 저장하는 전략을 수립하면 부족함이 없다.

 

4. 종이 문서

 

종이를 없애야 비대면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언급한 온라인화 되지 않는 문서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워드나 파워포인트로 작성한 문서를 인쇄해서 상급자에게 보고를 하곤 한다. TV 드라마를 보면 결재판에 결제 문서를 넣어서 도장을 받고, 마음에 안 들면 집어 던지기도 하는데, 재미를 위한 연출인지 아직도 종이로 업무를 하는 회사가 많은지는 모르겠다. 종이 문서는 가독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는 하나 그 외에 여러 면에서 단점이 많다. 종이 문서를 없애야 업무의 속도가 빨라지고 공유, 추적, 관리에 유리하다. 부수적으로 종이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도 있다.

 

5. USB 메모리

 

비대면으로 업무를 수행하려면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USB 메모리에 파일을 넣어 다니면서 일을 하는 것은 구시대적인 방법이다. 회사의 문서 관리 시스템이나 클라우드에 모든 문서를 저장하고 어디서나 접속하여 업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USB 메모리는 회사의 보안을 취약하게 만드는 요소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비대면 방식은 코로나19로 인한 필요성도 있지만,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여주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 비대면 업무 방식으로 전환하려고 하는 회사는 필요한 것을 도입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사용하면 안되는 것을 제거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렇다고 무작정 제거하기보다는 정교한 전략이 필요하다. 없애는 것을 보완할 시스템이 필요하며, 프로세스, 문화, 교육 등에 투자해야 비대면 업무 방식으로 전환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2020년 7월 29일 수요일

비대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핵심 시스템 10가지

비대면으로 소프트웨어를 잘 개발하는 방법은 비대면이 아니라도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잘 개발하는 방법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비대면으로 소프트웨어를 잘 개발하는 방법을 도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비대면으로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툴, 시스템이 있다. 이 툴 중 대부분은 비단 소프트웨어 개발 뿐만 아니라 회사의 일반 업무에도 필요한 시스템이다. 소프트웨어 회사가 아니라도 관심을 가지고 보자. 툴과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회사의 문화, 인식, 프로세스를 바꾸는 것보다는 쉽다.

좋은 툴, 시스템을 도입해야 개발 및 업무 효율성이 배가 된다. 툴, 시스템은 오랫동안 진화를 해왔고,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이것들을 잘 선택하는 것도 실력이다. 워낙 많은 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도 쉽지는 않다. 그렇다고 잘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한 회사의 사례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도 좋은 것은 아니다. 회사마다 프로젝트의 성격, 규모, 문화,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꼭 비싼 툴을 도입하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무료 툴이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다. 비싼 툴은 비싼 값을 하지만 기능이 너무 많거나 복잡해서 회사에 따라서는 오히려 과한 경우도 있다. 회사의 규모, 문화, 프로세스에 따라서 적합한 툴의 조합을 잘 선택해야 한다.

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쉽지만 잘 쓰는 것은 어렵다. 도입만 하고 안쓰거나 형식적으로 쓰는 경우도 많다. 툴만 도입하고 프로세스와 연계를 안하거나 회사의 상황에 너무 과한 툴, 시스템을 도입한 경우에도 정착에 실패할 수 있다.

회사의 기존 프로세스를 잘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택하기 보다는 툴, 시스템의 철학에 맞게 회사의 프로세스와 업무 방식을 바꾸는게 낫다. 업무 방식은 좀더 자율적이고 능동적이어야 하며 수평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래야 비대면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증가한다.

각 툴, 시스템들은 서로 연결이 되어서 유기적으로 작동한다. 한 회사에서 개발한 여러 툴 세트를 쓰면 연동이 잘 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한 회사의 툴을 쓰는 것이 무조건 좋은 선택은 아니다. 회사의 프로세스와 잘 엮어서 여러 회사의 툴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럼 비대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 꼭 도입해야 할 시스템을 알아보자.

1. 문서 공유 시스템


문서들이 직원들의 각자 PC에서 생산되고 이메일을 통해서 돌아다닌다면 보통 혼란스러운 것이 아니다. 문서의 버전을 관리하기도 어렵고, 보관도 어렵다. 문서 공유 시스템을 도입하면 문서의 버전을 철저히 관리하고 적절한 공유, 권한 제어, 외부 전달, 백업이 가능하다.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비용 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가장 마음이 드는 기능 중 하나는 검색 기능이다. 시스템마다 차이는 있지만 회사의 수만 개의 문서 중에서 내가 찾는 문서를 간단한 검색을 통해서 몇 초 만에 찾아준다. 문서의 본문까지 모두 찾아주는 시스템도 있으니 매우 편리하다.

몇몇 문서 공유시스템은 PC의 파일 탐색기와 연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회사의 문서를 외부 공간인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에 보안 상 우려를 하는 기업도 있지만, 회사 내부에서 여기저기 문서가 굴러다니는 것보다 더 안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Dropbox, Apple iCloud, Google Drive, MS Sharepoint, Amazon WorkDocs 등이 있다.

국내 기업으로는 사이버다임사의 문서관리시스템이 있다.

2. 문서 공동 작업/리뷰 시스템


문서 공유 시스템과 접목하여 문서를 공동 작업 및 리뷰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문서를 작업해도 충돌 없이 같이 작업할 수 있다. 완벽한 문서 공동 작업 솔루션이 나온 것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기능인데, 이제는 일반화 되었다.

문서를 리뷰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문서 리뷰를 실시하면 여러 관련자가 문서의 곳곳에 자신의 의견을 댓글로 남기면서 토론을 할 수 있다. 그 결과를 문서에 반영하고 다시 리뷰를 진행하는 사이클로 진행된다. 이렇게 문서 온라인 리뷰를 진행하면 관련된 모든 사람의 의견을 꼼꼼히 문서에 반영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 없이 오프라인으로 문서를 리뷰하고 반영하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오프라인으로 문서를 작성한 것보다 훨씬 완성도 높은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렇게 문서를 온라인으로 보관하고 공동 작업하고 리뷰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적응해 나가면 어느덧 비대면 업무 방식에 익숙해져 간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MS Office 365, Google Docs, Apple iWork 등이 있다.

3. 요구사항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하나를 꼽으라면 요구사항을 분석해서 스펙을 작성하는 일이다. 스펙을 문서화 하기 위해서 MS Word로 작성하기도 하고, GoogleDocs, Wiki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전문적인 관리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

MS Office와 같은 문서 위주의 편집 툴을 사용하여도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충분히 분석하고, 협업하고, 리뷰할 수 있지만, 전문적인 요구사항 관리 시스템은 조금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요구사항을 수집, 관리, 협업, 리뷰, 버전 관리, 요구사항 추적, 재활용 등에서 좀더 많은 기능 및 편리함을 제공한다. 요구사항 분석 역량을 충분히 갖춘 회사라면 한번 도입해 볼만하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Jama, Orcanos, DOORS, ReqSuite, Accompa 등이 있다.

4. 이슈 관리 시스템


이슈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회사만 필요한 시스템이 아니다. 이슈 관리 시스템은 버그 관리 시스템에서 출발하여 점차 진화를 거듭하여 회사의 모든 이슈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성장하였다. 이제는 거의 모든 형태의 회사에 필요한 시스템이 되었다.

이슈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 만으로는 그 혜택을 다 볼 수 없다. 회사의 업무 철학과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 업무 방식을 지시와 보고 형태에서 자발적 업무와 모니터링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 일일이 업무를 지시하고 추후 결과 보고를 받는 형태로 업무를 계속 하면서 그 프로세스를 이슈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면 비대면 프로세스로 전환하기도 어렵고, 이슈관리시스템의 철학과는 좀 멀어지고 업무 효율성도 떨어진다.

이슈 관리 시스템이 완전히 정착되면 모든 업무가 투명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투명한 업무 진행을 꺼려하는 조직도 있지만, 적응하고 나면 업무 생상선이 대폭 증가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슈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효과를 최대로 보고 비대면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업무 방식을 바꾸는 것에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Jira, Redmine, Mantis, Bugzilla, Trello 등이 있다.

Jira는 상용 소프트웨어지만 현재 10유저까지는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서 스타트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5.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회사는 거의 없을 것이다. 만약에 특별한 이유로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꼭 도입을 해야 한다. 특별한 이유라는 것도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아닐 것이다.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은 도입은 쉽지만 제대로 쓰는 것이 만만치는 않다. 브랜치, 머지, 베이스라인, 체크인에 대한 여러가지 규칙을 잘 만들고 지켜야 한다.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과 분산형이 있으니 회사의 상황에 맞게 선태하면 된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Subversion, Git, Murcurial, Perforce 등이 있다.

설치형, 클라우드 형이 있으며, 클라우드 형으로는 Github, Gitlab, Bitbucket 서비스 등이 있다. 각자 유/무료 정책이 있으니 비교하여 선택하면 된다.

6. CI(지속적인 통합) 시스템


개발자들이 서로 떨어진 장소에서 얼굴 안보고 실시간으로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소스코드가 항상 빌드가 가능한 상태로 유지가 되어야 한다. 소스코드는 매시간, 매분 새로 업데이트가 된다. 그런데, 한 개발자가 빌드가 안되는 상태의 소스코드를 등록하면 개발팀 전체가 개발에 차질이 생긴다. 개발자는 항상 빌드 가능한 소스코드를 등록해야 하며 이 규칙은 매우 엄격하다.

CI(지속적인 통합) 시스템을 이용하면 소스코드를 등록할 때마다 소스코드를 점검하고, 빌드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이때 회사의 코딩 규칙 검사, 자동 테스트 등을 수행하며 소스코드의 버그를 줄여주기도 한다.

CI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으면 개발자는 자신이 담당한 모듈을 코딩해서 소스코드 관리시스템에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 나머지는 시스템이 알아서 해준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Jenkins, Bamboo, Cirble CI, GitLab CI 등이 있다.

7. 코드 리뷰 시스템


코드 리뷰는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며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비대면 개발을 위해서는 코드 리뷰 시스템이 필수다. 모여서 코드 리뷰를 할 필요가 없고, 온라인 코드 리뷰 시스템에 코드 리뷰를 등록하면 관련된 수많은 사람이 온라인으로 코드 리뷰를 진행한다. 온라인 코드 리뷰는 오프라인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고, 시간을 많이 절약해준다. 그래서 코드 리뷰를 좀더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회사의 프로세스마다 다른데, 소스코드를 등록한 후에 코드 리뷰를 하기도 하고, 코드 리뷰를 통과한 소스코드만 회사의 메인 소스코드 저장소에 등록하도록 하기도 한다.

코드 리뷰가 활성화 된 회사일수록 개발자가 더 잘 성장한다. 그리고 고참 개발자가 될수록 코드 리뷰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고참 개발자는 코드 리뷰를 통해서 후배를 양성하기도 하지만, 본인이 성장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많은 회사들이 코드 리뷰 도입에 실패하지만, 좋은 온라인 코드 리뷰 시스템을 도입하면 코드 리뷰 정착에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Gerrit, Crucible, GitHub, GitLab, Review Board 등이 있다.

8. 지식 공유 시스템


소프트웨어 회사만 필요한 시스템은 아니다.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 보면 공유할 수많은 정보, 지식이 생성된다. 지식 공유 시스템이 없다면 이런 정보는 연기처럼 사라지거나 개인의 저장소에 묵히게 된다.
정보를 생산할 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정리하여 공유할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래서 지식 공유 시스템은 비대면 개발의 핵심이다.

회사, 제품, 프로젝트, 프로세스 등 여러가지 분야로 잘 나뉘어서 정리된 지식과 정보는 이 사람 저 사람 찾아다니면서 물어보지 않아도 업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원격으로 접속 가능한 시스템이므로 지역적인 제약없이 일할 수 있다.

대표적인 지식 공유 시스템은 Wiki와 KMS다. Wiki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이를 회의록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회의록 기능을 강화한 Wiki 시스템도 있다.

설치형, 클라우드형이 있다. 장단점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대표적인 Wiki 시스템으로는 Confluence(10유저 무료), Bookstack(무료), Wiki.js(무료) 등이 있다.
KMS는 국내업체인 사이버다임날리지큐브가 제공하고 있다.

9. 화상 회의 시스템


비대면 개발을 하더라도 얼굴을 보고 회의를 해야 할 때도 있다. 재택 근무가 완벽하게 진행되어 모든 업무를 문서와 시스템으로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정서상의 이유와 팀워크 유지를 위해서 얼굴을 보고 얘기를 할 필요도 있다. 또 온라인으로, 문서로 쉽게 답이 안나오는 이슈는 얼굴 보고 논의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이럴 때는 웹캠을 이용해서 화상 회의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화상 회의는 주기적인 프로젝트 회의로 진행하기도 하고, 이슈가 있을 때 비정기적으로 실시하기도 한다.

회상 회의는 1:1 뿐만 아니라 여러 명이 동시에 회의를 할 수도 있다. 여러 명이 원활히 화상 회의를 하기 위해서는 빠른 인터넷도 필수다. 화상 회의는 일반 회의와 마찬가지로 용건만 짧게 빠르게 진행해야 한다.

화상 회의 시스템은 부가 기능으로 녹화, 화면 공유, 화이트 보드, 그룹 스케줄러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Teams, Skype Business, Google Meet(hangout), Zoom 등이 있다.

10. 협업 시스템


협업을 위한 여러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넣어 놓은 종합 선물세트다. 소프트웨어 회사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회사에 비대면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팀 관리, 채팅, 파일관리 등이 기본 기능이지만 화상 회의, Wiki 등 위에서 언급한 여러가지 툴 중 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비대면 업무 필요성이 증가할수록 도입하는 기업이 늘 것으로 생각된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Teams, Slack, Swit, 잔디, 라인웍스 등이 있다.

이상 10가지의 시스템을 알아봤는데, 이런 시스템을 모두 사용한다고 완벽하게 비대면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두 비대면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더 생산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시스템을 잘 활용하여 개발과 업무를 진행하면 비대면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 자체가 개발 및 업무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 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2020년 7월 10일 금요일

코로나19 시대에 비대면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수

코로나19가 우리의 일상을 바꾸고 일하는 방식도 변화 시키고 있다. 그러면서 여러 분야에서 직접 만나지 않고 일을 하는 비대면 방식으로의 업무 방식을 도입할 수 밖에서 없게 되었다.

이러한 비대면으로 일하는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비대면 방식의 개발이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비대면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감소와 효율적인 개발과도 맞닿아 있다. 그동안은 이런 비대면 방식의 개발이 많은 기업에서 도입이 어려웠다. 그동안 해오던 방식을 바꾸기 쉽지 않는 것이 한 이유인데, 이제는 필수적으로 비대면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따라서 비대면 방식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짚어보고자 한다.

그럼 소프트웨어를 비대면 방식으로 개발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개발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가장 큰 이유는 개발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사실이다. 프로젝트가 점점 커지고,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까지 감안하면 그 비용의 차이는 점점 커진다. 

좀더 나아가 비대면 개발 방식을 재택 근무까지 확장하면 회사 입장에서는 거주지에 상관없이 개발자를 채용하는 이득이 있고, 꼭 하루 8시간 일하는 개발자를 채용할 필요도 없고, 개발자 채용이 훨씬 유연해진다. 또한 사무실 임대비용도 감소하여 많은 장점이 생긴다.

직원 입장에서도 개발 외의 시간을 덜 뺏기게 되어 업무 집중도가 높아지고, 감정 소모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개발 생산성도 향상된다. 하루 4시간 밖에 일하지 못하는 개발자에게도 취업의 기회가 생기고, 생활의 질도 올라갈 것이다. 

사회적으로는 회사들이 몰려있는 수도권의 집값도 떨어지는 효과도 생길 것이다. 회사, 직원, 사회 모두가 이익이 된다.

문제는 얼굴을 보지 않고 일을 할 수 있냐는 것이다. 게다가 일을 열심히 하고 있는지 믿을 수 있냐는 것이다.

이제부터 사례를 비교해보고 어떻게 해야 비대면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먼저, 미국의 경우를 보자.

미국에서는 이미 약 20%의 개발자는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약 20%의 개발자는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개발자로 입사를 하면 재택근무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는 훨씬 더 증가하고 있다. 즉, 미국에서는 이미 비대면으로 개발하는 방식에 익숙해져 있고, 비대면 개발에 별 문제가 없다.

미국에는 비정규직 포함 1200명의 직원이 모두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회사가 있다. 바로 GitLab이다. GitLab의 모든 프로세스는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문서를 통해서 개발이 이루어진다. GitLab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Facebook은 개발자가 입사한 첫날 버그를 고친다. 이렇게 고친 버그는 전세계 서비스 된다. 개발자가 입사를 하면 버그관리시스템에서 버그를 할당해주고, 개발자는 온라인으로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소스코드를 내려 받고, 수정 후, 온라인으로 코드리뷰를 받고 소스코드를 등록한다. 한 사무실에 있는 동료들의 얼굴을 볼 수 있지만, 얼굴을 보지 않아도 일하는 방식은 똑같다.

최근 실리콘밸리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대대적인 재택근무를 선언하고 있다. Facebook은 향후 5~10년에 걸쳐 직원 절반이 영원히 원격근무를 할 것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서 실리콘밸리 집값도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국내의 회사들은 전면적인 재택근무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정 직군만 재택근무를 시행하거나 일주일에 며칠만 재택근무를 시도하곤 한다. 아예 비대면으로는 일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 우리나라 회사의 사례를 살펴보자.

스펙 문서를 보고 개발자가 개발을 못한다.


A사는 공공 프로젝트를 위주로 사업하던 회사다. 공공 프로젝트에서 업무를 분석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업무 분석가가 핵심이다. 업무 분석가가 소프트웨어 스펙을 작성해서 개발자에게 넘겨주면 문서를 보고 개발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실제는 업무 분석가가 개발 기간 내내 옆에서 기능을 설명해줘야 했다. 업무 분석가는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프로젝트에 묶여서 다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가 없다. 회사 입장에는 수주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줄어 들기 때문에 손해가 아닐 수 없었다. 하지만, 몇 년을 노력해도 스펙 문서를 전달해서 개발자들이 스펙 문서를 보고 개발한다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

B사는 신입 개발자가 입사를 하면 사수를 정해주고 이거 저거 가르쳐줘야 하는 것이 많다. 신입개발자는 최소 한달은 되어서 실제 개발에 투입이 될 수 있다. 사수인 고참 개발자도 시간을 많이 빼앗기고, 신입개발자도 월급 값을 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개발자가 입사할 때마다 이런 일은 반복된다. 신입 개발자에게 문서를 전달해주고 알아서 개발을 하게 하고 싶지만, 고참 개발자는 이를 위해서 문서를 따로 만들 시간이 없다.

왜 대면 개발이 문제인가? 대면으로 밖에 개발을 못하면 진짜 문제인가?

대면 위주로 개발하면 초기에는 뭔가 더 효율적인 것 같지만, 효율은 점점 떨어진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 많은 개발자가 필요하고 초기 개발자가 유지보수에 더 매달려야 하고, 업그레이드 할수록 개발 비용이 증가한다. 

비대면 개발은 시스템, 문서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기록이 남고 혼선이 줄어들며 유지보수 준비가 된다. 

위기가 곧 기회


일본의 수출규제가 우리 부품 산업이 자립도를 높였듯이 위기가 곧 기회가 될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바뀌어야 하겠지만, 한국인의 저력과 맞물려서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이 몇 단계 업그레이드 될지도 모른다. 그러기 위해서 방법을 알아야겠다.

비대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가 필요하다.

첫째, 비대면 개발을 위한 시스템, 툴이 준비되어야 한다.

작은 툴부터 시스템까지 10~20여가지의 시스템이 도입되어서 내재화되어야 한다. 많은 것 같지만 적응해서 사용하다 보면 하나하나 필수적인 것이고 이것들 없이는 개발을 못할 것 같은 생각이 들것이다. 여러 회사를 살펴본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비대면 개발 프로세스를 위한 시스템, 툴을 촘촘히 전부 도입하고 있는 회사는 드물다. 일부 시스템만 사용하고 있어서 프로세스 중간중간 비대면 프로세스가 끊어지는 경우가 많다. 필수 시스템 중 몇가지만 예로 들면 문서관리시스템, 지식관리시스템, 소스코드관리시스템, 이슈관리시스템, CI시스템, 코드리뷰시스템 등이다. 추후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이렇게 비대면 프로세스가 끊어지면 지속적으로 비대면 개발을 할 수 없고, 중간중간 얼굴을 보고 일하지 않으면 안된다.

둘째, 문서작성 역량이다.

단순히 워드 문서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온라인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모든 것을 다 적어야 한다. 말로 하는 커뮤니케이션보다 글로 적는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해져야 하고, 문서를 통해서 의사를 전달하고 문서를 보고 개발할 수 있는 수준의 문서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자세하게 적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최소한으로 문서를 적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런 역설적인 말을 이해해야 한다. 개발에 관련된 문서는 많다. 기획문서, 스펙문서, 백서, 설계문서, 테스트 관련 문서 등 여러 문서를 온라인 프로세스를 통해서 작성하고 리뷰하고 확정하고 변경 관리를 해야 한다. 

셋째, 개발 문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수평 문화다. 온라인으로 비대면 개발을 하면 업무가 수평적으로 진행된다. 프로젝트에서 자신의 역할이 존재할 뿐이고 수직 관계가 없어져야 한다. 그래야 제대로 개발이 된다. 온라인에서도 수직관계가 여전히 존재한다면 일이 잘 진행 안될 것이다. 각자 자신이 맡은 일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연공서열, 장유유서, 상명하복 이런 것들이 점점 희박해지고, 전문성이 강조되는 문화로 바뀌어 나가야 한다. 얼굴 안보고 일하면 이런 문화가 바뀔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코로나19는 우리에게만 닥친 것이 아니다. 전세계가 동일한 환경에 처했다. 전세계가 비대면 방식으로 업무를 바꾸고 있고, 우리가 조금이라도 더 빨리 적응해 나가야 한다. 승부는 2,3년 안에 나게 되었다. 여기서 뒤쳐지면 따라잡기 어렵다.

비대면 방식이 소프트웨어 개발은 이제 선택이 아니고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오늘은 비대면 방식의 개발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만 했는데, 앞으로 하나씩 자세히 소개를 할까 한다. 하루아침에 습득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차근차근 알고 익혀 나가는 것이 가장 빠른 길 일 것이다. 

이 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2020년 4월 26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11] 스펙 문서에 대한 오해

많은 회사에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스펙 문서를 작성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스펙 문서라는 이름의 문서를 작성한다. 하지만 회사에서 작성한 스펙 문서를 살펴보면 진짜 스펙 문서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름만 스펙 문서이지 내용은 스펙이라고 부르기에는 뭔가 좀 다른 경우가 많다. 그 사례를 살펴보자.

문서 이름이 문제


일단, 스펙 문서라고 하여 여러가지 이름의 문서가 사용되고 있다. “기능명세서”, “요구사항 기술서”, “시방서”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문서를 보면 이름만 봐도 스펙 문서라는 생각이 안 든다. 왠지 스펙의 극히 일부분의 내용이 적혀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실제로 내용을 보면 이름에 걸맞게 내용도 반쪽짜리 또는 극히 일부의 내용만이 언급되어 있다. 나름 노력을 해서 스펙 문서라고 적어서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만 주먹구구식 프로젝트보다 약간의 진보가 있을 뿐 큰 차이는 없다. 스펙 문서는 이름도 중요하다. 누가 봐도 스펙 문서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SRS라고 부르거나 Specification이라는 말이 들어간 이름을 쓰는 것이 좋다.

문서 내용의 문제


“기능명세서”, “요구사항 기술서”, “시방서” 등의 이름을 가진 문서들은 대부분 요구사항이나 기능에 집중된 내용이 들어 있다. 그래서 이런 문서는 “스펙”이라고 하기에는 반쪽짜리 문서다. 스펙 문서는 비전, 전략, 기능, 환경, 비기능, 시스템 특성 등 여러가지를 포함해야 한다. 또한 요구사항도 그대로 적는 것이 아니라 잘 분석이 되어서 여러 기능이나 비기능으로 분해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분서에서 빠져 있는 내용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수많은 문제와 혼동을 야기할 것이다.

절차의 문제


“스펙” 문서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프로세스가 있다. 작성과 리뷰, 승인 과정을 거친다. 그래서 책임을 지고 작성하는 “분석 아키텍트”가 정해지고 프로젝트에서 적절한 분석 시간을 할당 받는다. 분석 활동으로 공식적으로 인터뷰, 워크샵, 관찰, 토론 등을 진행할 때 이해관계자들의 협조를 받으며 공식 리뷰에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 신중하고 꼼꼼하게 리뷰를 하고 승인을 한다. 승인에 대한 압박감도 상당하다. 우리는 “스펙”이라는 용어를 듣는 순간 이러한 프로세스도 거쳤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이런 절차 없이 개발팀에서 알아서 작성해서 진행을 하면 안된다.

필자는 “스펙”, “소프트웨어 스펙” 또는 “SRS”라는 용어를 사용하길 권장한다. 이런 용어를 사용해서 대화를 한다면 서로 같은 의미로 소통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외국인 개발자를 채용하거나 글로벌 업체와 협력을 하게 된다면 용어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스펙”, “SRS”라는 용어로 소통을 하고 문서를 작성할 때 외국 업체와의 협업이 더 원활할 것이다. 물론 용어만 쓴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스펙”, “SRS”를 제대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2020년 4월 12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10] 요구사항과 스펙의 차이

스펙에 대해서 얘기할 때 종종 혼동해서 사용하는 것이 요구사항이다. 영어로는 Specification과 Requirement(s)다. 두 용어는 같은 것일까? 다른 것일까? 가끔은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우리는 스펙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두 용어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구사항"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업계 외에서도 일반적으로 의미와 비슷한 뜻으로 사용된다. 고객이나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스펙”은 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수많은 회사에서 또, 여러 개발자들이 그 의미를 미묘하게 서로 다르게 생각하고 있나보다. “스펙”도 소프트웨어 업계 외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취업 시장의 후보자도 “스펙”이란 용어를 쓰고, 스마트폰 등 디바이스도 “스펙”이란 용어를 쓴다.

일반적인 의미로 소프트웨어도 “스펙”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스펙”이라고 하면 머리 속에 그려지는 모습이 있다. 그리고 그 모습은 전세계 개발자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있다. 적어도 이런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런 절차를 통해서 만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요구사항은 한 줄 또는 몇 줄에 불과하지만 그 요구사항을 잘 분석해서 스펙을 작성하면 수 페이지 또는 수십, 수백 페이지의 문서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고 요구사항만 가지고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큰 재앙이 닥칠 수 있다. 특히 외주 프로젝트라면 그 재앙은 회사를 매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내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든 외주나 SI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든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고 요구사항 수준의 요청으로 진행을 하면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내내 수많은 문제가 발견되고 난상토론, 불 끄기, 고치기 반복이 발생한다. 물론 스펙을 적절히 잘 작성하면 이런 문제 상황을 훨씬 줄어든다.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요구사항”과 “스펙”이란 용어를 혼동해서 사용을 하고 있다. “요구사항”과 “스펙”의 차이를 사전적으로 아무리 설명해도 그 차이를 실감하기는 불가능하다. 외울 수는 있어도 금방 잊어버려서 실전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을 하지 못한다. 유일한 방법은 소프트웨어 “스펙”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면 “요구사항”과 “스펙” 차이를 명확하게 알게 된다. 그래서 이 시리즈에서는 “스펙”의 원리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요구사항과 스펙의 차이)
share abctech.software


2020년 3월 29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9] 여러 종류의 스펙 문서 유형

소프트웨어는 하루짜리부터 몇 년짜리 대형 프로젝트도 있다. 이런 모든 프로젝트에 동일한 스펙 문서를 적용하면 비효율적이다. 스펙 문서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상황에 맞는 문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슈관리시스템의 한 줄 또는 몇 줄의 설명


스펙이라고 하면 수십에서 수백페이지의 문서를 먼저 떠올리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Jira나 Redmine과 같은 이슈관리시스템의 이슈 하나, 또는 한 줄이 스펙이 될 수도 있다. 보통 작은 유지보수를 위한 변경에서 주로 적용되지만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정의가 된 것이라면 한 줄 또는 몇 줄의 글이라도 훌륭한 스펙이 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One-pager


SRS 등의 제법 큰 템플릿을 가진 문서에 정식으로 스펙을 작성하기에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작거나 이슈가 별로 없을 경우에 작성을 한다. 이슈관리시스템에 간단히 이슈를 정리하고 진행하기도 하지만 굳이 엔지니어링 One-pager라는 문서를 작성하는 이유는 스펙을 작성하는 정식 절차를 밟기 위함이다. One-pager라도 스펙을 일단 작성하면 공식 리뷰를 거쳐서 여러 사람의 의견이나 도움을 공식적으로 받을 수 있다. 그러면 개발하려고 하는 방향이 맞는지 이미 다른 팀에서 비슷한 것을 개발하거나 검토해 놓은 것이 있는지 더 좋은 방법은 없는지 의견을 받을 수 있다. 또한 One-pager의 내용은 공식적으로 다른 사람, 다른 팀에게 공유가 되어서 회사내에서 지식 공유에 도움이 된다.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엔지니어링 One-pager를 작성한다.


  • 메모리를 50% 절약하는 알고리즘 구현 시도
  • 최신 버전의 Visual Studio로 이식하는 프로젝트
  • 새로운 그래픽 엔진으로 교체를 하는 일주일짜리 프로젝트


수십페이지의 SRS


가장 일반적으로 스펙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비즈니스 전략, 환경, 기능, 비기능, 성능 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고려해야 할 대부분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SRS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다룰 것이다.

수백, 수천페이지의 거대 방법론의 스펙 문서


거대 방법론에서는 문서를 수십개 이상 작성하기도 한다. 이런 방법론에서는 스펙이 하나의 문서로 정리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문서에 분산되어서 작성된다. 장점으로는 프로젝트에 투입된 역할별로 필요한 문서를 정해서 보면 되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중복이 많이 발생하고 하나의 업무를 하기 위해서 매우 많은 문서를 봐야 한다. 또한 한번 작성하고 나면 수정이 매우 어렵다. 아래와 같은 문서들이 그 예다.

  • 요구사항정의서
  • 업무기능분해도
  • 업무흐름도
  • 액터카달로그
  •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 논리 ERD
  • 도메인 엔티티 정의서
  • 분석패키지 다이어그램
  • 코드정의서
  • 인터페이스 정의서
  • 컴포넌트 명세서
  • 화면 정의서
  • 메뉴 구조도

기타


  • 테스트 코드로 스펙 작성하기
  • 소스코드로 스펙 작성하기
  • 유저 스토리
share abctech.software

2020년 3월 15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8] 어떻게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하는가?


소프트웨어는 빠르게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린다면 적절한 시장 진입 시기를 놓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시장 변화는 매우 빨라서 너무 오래 개발을 하면 그동안 시장의 상황이 바뀐다. 경쟁자들은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여 우리 회사에서 지금 개발하고 있는 제품이 뒤쳐지곤 한다. 또한 오랜 프로젝트는 개발자와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을 지치게 만든다. 이런 현상이 프로젝트를 더욱 더디게 한다. 프로젝트가 기간이 길어지면 그동안 새로운 요구사항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기획자는 변화하는 시장의 상황을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로젝트는 더욱 늘어지고 품질은 떨어진다.

최근의 대부분의 개발 방법론들은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회사에서도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을까?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것은 매우 많지만, 여기서는 스펙 관점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느린 순차적 개발)


빌딩을 쌓을 때는 1층을 쌓고 2층을 쌓아야 한다. 1층을 쌓기 전에 2층을 쌓는 것은 불가능하다. 조립식 빌딩이라면 얘기가 다르지만 대부분의 빌딩은 순차적으로 쌓아 나간다. 소프트웨어도 이런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개발을 해야 한다면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거대한 소프트웨어는 수십년이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는 빌딩과 같이 1층이 완성되기를 기다렸다가 2층을 만들 필요가 없다. 1층과 2층의 인터페이스만 잘 정하면 따로 만들어서 합치면 된다. 다 만들어서 나중에 합치는 방법도 있지만, 1층과 2층의 뼈대만 만들어 놓고 동시에 만드는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한다. 나중에 합치게 되면 합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처음부터 합쳐 놓고 동시에 만들면 합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가 줄어든다.


(빠른 병행 개발 - 개발 후 통합)


(빠른 병행 개발 - 통합 후 개발)


이렇게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개발하여 프로젝트 기간을 단축하려면 분석, 설계가 잘 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컴포넌트를 잘 나누고 인터페이스를 견고하게 정의해야 한다. 인터페이스는 간결하게 정의를 해야 각 모듈 간의 연동이 쉬워진다. 인터페이스는 확고하게 정의를 해야 하며 나중에 함부로 바꾸면 안된다. 물론 한번 정의한 인터페이스가 프로젝트 종료 시까지 변경되지 않으면 가장 좋겠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개발 도중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면 처음에 잘 정의한 경우보다 수십배의 변경 비용이 들어간다. 따라서 분석, 설계 시 최대한 노력을 하여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면 변경되지 않도록 정의를 해야 한다.

프로젝트가 크고 참여 인원이 많을수록 순차적인 개발보다 병렬 개발이 훨씬 좋다. 수십명의 개발자가 참여하는 프로젝트에서 순차적인 개발이란 거의 불가능하다. 수십명의 개발자가 처음부터 잘 통합된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병렬로 개발을 해야 프로젝트를 빨리 끝낼 수 있다.


(순차개발과 병행개발의 개발 속도 차이 비교)


인터페이스는 상호간의 약속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듈을 병렬 개발할 때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 개발팀과 서버 개발팀의 약속이다. 인터페이스를 확정하면 서로 약속을 한 것이고 서로 헤어져서 따로 개발을 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신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젝트 기간 내내 인터페이스를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통합이 필요하며 유닛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도 유용하다. 개발자는 자신이 작성한 모듈을 완성한 후에 소스코드관리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좀더 잦은 주기로 등록을 하여 프로젝트 주기 내내 소스코드가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너무 늦게 통합을 할 경우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통합의 지옥”을 맛보게 된다.

커밋은 하나의 기능이 완성이 되었을 때, 전체 클래스 또는 전체 컴포넌트를 모두 구현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하지만 항상 빌드는 되어야 한다. 또한 내가 소스코드를 수정하는 동안 다른 곳을 수정한 동료들의 소스코드와 머지(Merge)가 잘 되어서 제대로 빌드가 되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보통은 적어도 하루에 한두 번 이상 커밋을 한다. 며칠씩 커밋을 하지 않고 지나가지는 않는다.

지속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툴을 사용해도 되고, 직접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구축을 해도 된다. 지속적인 통합을 도와주는 툴을 CI툴이라고 하며 Jenkins, Bamboo 등이 있다. CI툴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CI툴은 지속적인 통합을 조금 쉽게 해준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통합 활동을 성실히 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빌드가 필수다. Build on commit을 하기도 하고 Daily build를 하기도 한다. 밤에 빌드를 한다고 해서 Nightly build라고 하기도 한다. 프로젝트 기간 내내 Daily build는 실패가 없어야 한다. Daily build가 실패하면 인터페이스가 깨졌거나, 어떤 개발자가 깨진 소스코드를 올렸을 수 있다. 빌드가 깨지면 여러 개발자들이 개발에 차질을 빚게 된다. Daily build가 깨진 것을 브로큰 트리(Broken tree)라고 부르며 즉각 해결을 해야 한다.

거대한 시스템일수록 병렬 개발은 꼭 필요하다. 거대한 시스템의 구조를 얼마나 간결하게 하는지가 설계의 중요 요소다. Architect는 복잡한 시스템을 최대한 간결하고 복잡도를 줄여서 시스템의 개발, 유지보수 효율을 높여야 한다. 병렬 개발을 할 때 어려운 점은 내가 필요로 하는 컴포넌트가 아직 구현이 안되어 있어서 기능을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나는 사용자 관리 화면을 개발하고 있고 getUserList()라는 함수가 필요하다. 나는 사용자 목록을 출력하는 화면을 만들고 있는데 getUserList()를 개발하는 개발자는 아직 이 함수를 구현하지 않은 상태다. 그럼 나는 getUserList() 함수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내가 만든 사용자 목록 화면을 테스트 해볼 수가 없다. 그럴 때는 getUserList() 함수에 가짜 코드를 추가하면 된다. 실제로는 DB에 쿼리를 해서 사용자 목록을 가져와야 하지만, 가짜로 Hard coding을 해서 사용자 목록을 넘겨주는 것이다. 물론 이런 가짜코드는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넣고 뺄 수가 있어야 한다.

C언어로 개발을 한다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아주 간단한 예를 든다.
#define USE_FAKE
RET getUserList(userdata *pData[], int &num)
{
#ifdef USEFAKE
  // make fake data
  num = 2;
  pData[0]->userid = 1;
  pData[0]->username = “John”;
  pData[1]->userid = 2;
  pData[1]->username = “Tom”;
#else
  // get data from database
#endif
  return RET_SUCCESS;
}
(병행 개발을 위한 소스코드 예)

이와 비슷하게 개발 언어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으로 병렬 개발하는 아이디어를 적용하면 된다. 병렬 개발을 위와 같이 각자 서로 다른 모듈을 개발하는 경우도 있고 하나의 모듈을 여러 개발자가 개발하는 경우도 있다.

잘 분석, 설계된 소프트웨어는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병렬 개발을 진행하여 소프트웨어를 빨리 개발할 수 있다.

share with abctech.software

2020년 3월 1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7] SRS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분석해서 작성하는 스펙 문서의 형태와 종류는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개발방법론에 따라서 제시하는 문서도 다르고 그 개수도 천차만별이다. 이 시리즈의 글에서 소개하고 주로 다룰 문서는 SRS다.

SRS는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s)의 약자다. Specification 혹은 Spec(스펙)이라고도 한다. SRS는 IEEE830에서 문서를 작성하는 가이드가 정의되어 있고, DoD(미국 국방부) 표준 문서이다.

SRS는 스펙 작성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어떠한 형태의 스펙 문서를 작성하더라도 스펙 작성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스펙을 작성할 때 생각하는 방법, 작성하는 프로세스, 포함되어야 할 내용, 각 내용에 대한 작성 가이드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SRS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스펙을 작성하는 원리는 지금도 변하지 않았다. 앞으로도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SRS를 작성하는 원리를 깨우친다면 어떠한 방법론 하에서도 스펙을 잘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SRS는 IEEE에서 만든 표준 템플릿과 작성 가이드가 있다. 회사마다 조금씩 수정해서 자신의 회사에 맞는 템플릿을 별도로 가지고 있지만, 서로 매우 유사하여 SRS는 전세계 표준이라고 보면 된다. 소프트웨어 회사라면 각자 회사와 개발하는 제품의 특성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share with abctech.software

2020년 2월 16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6] 스펙과 프로젝트의 성공

스펙을 부실하게 작성하고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수없이 많다. 하지만 그 중에서 성공을 하는 프로젝트도 있다. 그래서 스펙을 제대로 작성했다고 착각을 하기도 하고 반대로 스펙을 제대로 작성해야 하다는 것을 믿지 않기도 한다. 이럴 때는 프로젝트가 10배로 커지고 개발자가 10배 투입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상상을 해보면 된다.

많은 프로젝트들이 첫번째 버전을 성공했다가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두번째 프로젝트에서 실패를 한다. 이를 “두번째 버전 신드롬”이라고 부른다. 첫번째 버전은 규모도 작고 적은 인원으로 진행을 해서 성공 확률이 높았지만 첫번째 제품의 성공을 기반으로 두번째 버전을 만들 때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서 실패 확률이 확 높아진 것이다. 부실한 스펙 하에서 개집 만들기에 성공해 놓고 스스로 마천루를 개발할 수 있다고 착각하면 안된다.

스펙과 프로젝트 성공 확률의 상관관계를 아래 그래프로 살펴보자. 감을 잡기 위해서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다. 숫자적인 의미를 부여하려는 것이 아니다. 프로젝트 성공과 관련된 수많은 요소가 있지만 그 중에서 스펙과의 관계만 살펴보자.


(프로젝트 규모와 프로젝트 성공확률과의 성관관계)


스펙을 부실하게 작성하면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서 프로젝트 성공 확률이 확 떨어지지만 스펙을 잘 작성하면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져도 프로젝트 성공 확률이 급격히 줄어들지 않는다.

share with abctech.software

2020년 2월 2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5]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꼭 알아야 할 규칙이 하나 있다. 바로 “1:10:100 rule"이다. 성숙한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전 직원들이 진정으로 그 의미를 알고 있고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크고 작은 많은 소프트웨어 회사 임직원들은 그 의미를 모르거나 알고 있어도 단어의 의미로만 알고 있고 진정으로 깨우치고 있지는 못하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발생하는 많은 비효율과 문제들이 바로 여기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 1:10:100 rule을 설명한 그래프가 아래에 있다.

(스펙 1:10:100 규칙 그래프)

스펙을 작성할 때 요구사항을 바꾸면 “1"이라는 비용이 들지만 고객에게 전달된 다음에 바뀌면 수백배의 비용이 들어간다. 요구사항이든 설계든 한단계 뒤에서 고치게 될 경우 2~5배의 비용이 들어가서 단계를 거치고 시간이 흐를수록 수정 비용은 기하급수로 증가를 한다. 따라서 기획이 제대로 되어야 하고 분석 설계가 적절하게 잘되어야 한다. 한창 개발 중에 기획이 바뀌거나 요구사항이 바뀌면 그 수정 비용은 엄청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개발자들은 기획에서 정확한 요구사항을 주지 않는다거나 나중에 요구사항을 바꾼다고 불평이 많다. 불평은 하지만 그것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별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황이 그러니 분석, 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고 대충 개발하다가 나중에 바꿔달라고 하면 또 대충 받아들여서 바꿔주고 이런 악순환을 반복하곤 한다.

기능에 따라서는 나중에 고쳐도 비용이 크지 않은 것도 있지만, 비용이 수백배 들어가는 것도 있다. 특히 아키텍처에 관련된 것이나, 비기능적인 요소는 나중에 수정할 경우 상상할 수 없는 비용이 들어간다.

이런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론이 나오기도 하고 한때 Agile이 각광을 받았지만, 이런 방법론이나 기법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는 없다. 정공법 외에는 방법이 없다. 기획을 제대로 하고 분석 설계를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하면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가 책임을 지고 검토를 해서 문제가 없게 해야 하면 나중에 딴소리를 하거나 바꿔달라고 하면 안된다. 정말 중요한 변경 요청이 아니면 다음 버전으로 미루는 것이 좋은 전략이다.

share with abctech.software

2020년 1월 19일 일요일

[Software Spec Series 4] 스펙의 역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스펙의 역할을 알아보자.

모든 프로젝트 이해관계자가 사용, 프로젝트의 중심


스펙은 프로젝트의 모든 요구사항이 모이며 프로젝트의 중심이 되는 문서다. 프로젝트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스펙을 참조하거나 작성에 참여한다. 스펙은 다시 여러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이 받아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 하나를 꼽으라고 하면 스펙이다.


(프로젝트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조해야 하는 SRS)


고객, 마케팅 부서, 영업 부서는 어떠한 제품이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다.


스펙이 없거나 부실한 상태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프로젝트가 완료되기 전까지 어떠한 소프트웨어가 개발될지 알기가 어렵다. 그러면 영업부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되기 이전에 판매 준비를 하거나 계약을 할 수가 없다. 스펙이 잘 작성된 프로젝트인 경우 스펙만 보고도 최종적으로 개발될 소프트웨어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영업부서에서는 이를 보고 판매에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영업망을 확충하거나 세일즈 자료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을 만나서 개발도 완료되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미리 팔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된 후에 부랴부랴 판매를 시작한다면 이미 상당한 판매 기회를 놓치게 된 것이다. 그 외에 안전, 의료, 보안 등의 인증이 필요한 경우도 스펙이 잘 작성되어 있다면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되지 않았음에도 인증을 신청해서 인증을 미리 획득할 수 있다. 인증은 종류에 따라서 1년 넘게 또는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된 후에서야 인증을 진행하면 수년의 영업 기회를 날려버릴 수도 있다.

프로젝트관리자(PM)에게는 스펙이 프로젝트 관리의 기준이 된다. 일정산정, 인력 배분, 리스크 분석 등을 할 수 있다.


스펙이 제대로 작성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는 별로 할 일이 없다. 일정을 제대로 예측하기도 어렵고, 리스크 파악도 어렵다. 적정한 리소스 계획을 세우지 못한다. 프로젝트가 진행이 되도 정확하게 진척률을 파악할 수가 없다. 그래서 1년짜리 프로젝트가 8개월쯤 지나도 정확하게 1년 안에 프로젝트가 종료될지 예측이 안된다. 그러면 프로젝트 관리자는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 무엇을 더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그저 운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서는 단계별로 진행을 하여 짧은 주기로 여러 차례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도 주기만 짧을 뿐이지 짧은 주기에 해당하는 스펙을 적절히 작성하는 것도 똑같이 필요하다.

개발팀은 스펙을 통해서 개발팀이 개발해야 할 제품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지 않았다면 개발팀은 정확하게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기획자나 분석 아키텍트에게 너무 많은 것을 수시로 물어봐야 해서 시간을 매우 낭비해야 한다. 개발자가 임의대로 생각해서 기능을 구현하게 되면 기획의 의도와는 완전히 다르게 되기도 한다. 개발자에게 주어진 너무 높은 자유도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부실하게 만들기도 한다. 개발자에게 자유도는 필요하지만 소프트웨어 전체 아키텍처는 분석, 설계 시에 정해져서 개발자에게는 한정된 자유도만 주어야 한다. 그래야 기획 시 의도된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개발될 수 있다.


(프로젝트에서 SRS의 위치)


테스트팀은 스펙을 통해서 테스트 계획 및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할 수 있다.


보통은 스펙 작성 후에 개발자들이 구현을 하는 동안 테스트팀은 테스트 준비를 한다. 테스트 계획을 세우고 테스트 설계를 해야 한다. 하지만 스펙이 없거나 부실하다면 테스트팀은 테스트 준비를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소프트웨어가 개발된 후에 소프트웨어를 보면서 테스트 준비를 해야 하는데 이 방법으로는 테스트 일정도 예측할 수 없고 부실한 테스트를 할 수 밖에 없다. 소프트웨어 품질이 나빠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기술문서팀은 스펙을 통해서 매뉴얼과 도움말을 작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스펙이 완성된 후에는 많은 일들이 벌어진다. 기술문서팀은 소프트웨어를 동작시켜 보지도 않고 매뉴얼을 미리 작성한다. 단지 화면 캡쳐만 소프트웨어 개발 후 추가할 뿐이다. 이뿐만 아니다. 고객지원 부서는 고객 지원에 필요한 준비를 해 놓고 교육팀은 교육 준비를 한다. 이처럼 소프트웨어 스펙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일을 수행해야 하는데 바쁘다고 스펙 없이 개발을 하는 것은 개발자 중심의 사고방식이며 프로젝트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도 않는다.

외주 업체는 스펙을 통해서 외주 업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SRS를 기준으로 계약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스펙도 없이 진행이 된다. 대략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계약하고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어렵다. 고객이 수시로 요구사항을 무리하게 바꿔도 하소연하기 어렵다. 또한,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고 진행을 하므로 요구사항만으로는 프로젝트의 규모를 제대로 산정하기 어렵다. 그래서 계약 시는 성공적인 계약으로 생각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할수록 손해를 보는 경우도 허다하다. 우리나라도 스펙을 기준으로 계약을 하는 관행이 자리잡아야 한다.

share with abctech.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