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16일 화요일

유니코드 영토 전쟁의 승리자는? (7)



이번에는 유니코드의 코드 체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소프트웨어 국제화를 필요로 하는 개발자라면 자주는 아니지만 유니코드 내부 코드 체계를 알아야 할 때가 있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개발을 할 때 폰트 등과 관련하여 문자가 깨지는 등 복잡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이때 유니코드의 체계의 원리를 아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구상의 문자를 모두 하나의 문자 코드에 집어 넣는 유니코드를 만드는 작업은 쉬울 수가 없었다. 고서적에 쓰는 문자들도 코드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유사이래 탄생한 모든 문자를 포함해야 했다. 그 중에서 압권은 중국어 즉, 한자다. 현재까지 알려진 한자만 10만자가 넘는다는 설이 있고 공식 한자만 8만자가 넘는다. 그러니 2바이트 유니코드 65,536 글자에는 중국의 한자도 다 들어 갈 수 없었다. 

두번째로 문자가 많은 나라는 한국이다. 현대 한국어 글자는 조합 가능한 문자가 1만자가 넘고 한자도 1만5천자는 사용을 한다. 물론 KSC5601에서는 한글 2350자, 한자 4888자를 정의하고 있지만 모든 글자를 표현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숫자다. 게다가 고어까지 모두 포함하면 조합 가능한 글자는 백만자가 넘는다고 한다. 물론 실제 사용하는 글자는 훨씬 적다.

이런 상황이라면 유니코드 65,536 글자 안에 어느 나라 글자가 많이 포함되느냐가 관건이 될 수 있다. 

1991년 유니코드 1.0에서는 한국어는 완성형코드가 포함되어 있었고 표현 못하는 글자가 수두룩하고 배열도 엉망이었다. 하지만 1996년에개정된 유니코드 2.0에는 한글 조합형의 모든 글자와 옛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코드 11,172개와 한글 자모가 포함되었다. 그 과정에서 유니코드 1.0에 포함된 한글코드는 사장시키고 새로운 코드영역으로 이동을 했는데 이런 대규모 이동은 유니코드 역사상 획기적인 일이었다. 유니코드 2.0부터는 한국어 표기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로인해 유니코드 1.0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가 유니코드2.0과 호환이 안되서 초기에는 불평이 많았지만 이제는 옛날 얘기가 되었다.


한자는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등에서 공통으로 많이 쓰는 한자를 통합하여 약 2만7천자를 할당하였다. 그 외의 한자는 다른 Plane에 포함되었다. BMP에 포함된 2만7천자의 한자는 2바이트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한자는 4바이트를 사용해야 표현할 수 있다. 중국의 고서적을 표현할 때는 4바이트 코드를 써야 하며 한국의 옛한글도 코드는 있지만 전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유니코드의 역사는 훨씬 더 복잡하지만 이 정도로 간단히 알아보고 유니코드 안에는 어떠한 글자들이 있는지 구경이나 한번 해보자. 대표적인 코드 영역을 몇가지 소개한다. 굳이 암기할 필요도 없고 미래에 문자가 깨지는 상황이 발생할 때 약간의 도움이 될 때가 있을 것이다.

문자들은 환경에 따라서 폰트의 지원여부 때문에 깨져 보일 수가 있으니 이미지로 표시를 했다.
 

다음 시간에는 한국어의 코드체계와 유니코드 인코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