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가내 수공업식 개발문화'다. 즉, 8:2 법칙에 관한 이야기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시스템과 개발자에 의존하는 비율이 8:2정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다른 분야는 어떨까? 예술적일수록 시스템에 의존하는 비율이 낮고, 체계화되고 규모가 클수록 시스템 비율이 높아져서 인력에 대한 유연성은 증가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이다. 즉, 개발자이다. 그런데 전적으로 개발자에게 의존하는 개발방식은 효율도 떨어지고 리스크도 높다. 특히 소수 인력에 의존하는 방식은 가내수공업 형태를 벗어나지 못한다.
비단 소프트웨어 분야 뿐만이 아니다. 전통 도자기 등 시스템화로 인해 산업화를 못 이루고 맥이 끊겨 사라져버린 분야가 얼마나 많은가? 임진왜란 때 수많은 도공을 납치해간 일본은 도자기 생산을 체계화해서 산업화에 성공했다. 유럽 수출을 시작으로 부를 쌓아서 선진국이 되는 발판을 마련했다.
회사 규모가 크나 작으나 회사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낮고 개별 개발자에 의존하는 회사는 개발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도 못한다. 개발자들이 퇴사하면 큰 타격을 입고 새로운 개발자가 들어와도 효율적으로 일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개발자들이 실력에 맞는 일을 적절하게 골고루 나눠 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기 일쑤고 고급 개발자들이 소방수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회사 규모는 큰데 여전히 가내수공업 형태를 못 벗어난 결과다.
이런 현상은 회사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갖추지 못해서 벌어진다. 회사 시스템이란 개별 직원과 대비되는 회사의 전반적인 체계를 말한다.소프트웨어 회사 또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는 모든 회사라면 갖춰야 할 시스템은 다음의 4가지가 있다.
조직, 프로세스, 문화, 기반시스템이다.
4가지를 잘 갖추고 있다면 특정 개발자에게 의존하는 리스크는 줄고, 개발자들도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 개발자가 이직을 해도 빠른 시간 안에 적응이 가능한다. 이것은 개발자와 회사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이렇게 되려면 소프트웨어 개발이 시스템에 의존하는 비율이 80%정도는 되어야 한다. 나머지 20%는 도저히 시스템으로 커버가 어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는 8:2가 아니라 2:8 또는 1:9이기 때문에 문제다.
개인 회사이거나 아주 작은 회사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시스템에 의존하는 비율을 0%에서 시작하여 20%, 50%, 80%로 차츰 높여가야 한다.
특정 개발자가 빠져 나가면 대부분의 개발 경험과 지식도 함께 빠져나가게 되는 경우 회사는 매우 불안한 상황에 놓인다. 이런 상황을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다. 회사의 시스템이 워낙 부실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개발자도 워낙 바빠서 그런 상황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보니,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단기적으로는 개발자 가치가 올라가서 더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런 환경에서 개발자는 적절한 성장 기회를 얻지 못한다. 아키텍처는 신경 쓰지도 못하고 여기저기 불려다니면서 재미없고 힘든 문제 해결에 주로 투입된다. 개발자 본인에게도 장기적으로는 손해다.
여기에는 몇 가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첫째, 그럼 개발자는 교체 가능해야 하는 부품인가?
회사가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이유는 개발자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리스크를 줄이고 좀더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이다. 개발 중에는 교체가 쉽게 되는 일이 있고, 어려운 일이 있다. 교체가 쉽게 되는 일까지 회사 핵심개발자들의 시간을 많이 빼앗으면 안된다. 회사 핵심 개발자들은 좀더 중요한 일을 해야 한다.
그러려면 쉬운 일들, 과거에 해놓은 일들을 다른 사람이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는 핵심 개발자가 퇴사해도 유지보수에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미래의 중요한 프로젝트에 타격을 입기 때문에 개발자들의 가치는 결국 커진다. 물론 아주 작은 회사는 상황이 다르다.
둘째, 시스템을 아주 잘 갖추고 있는 대기업이 소프트웨어 개발을 더 잘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시스템은 회사의 상황과 역량에 알맞게 적절히 갖춰야 한다. 하지만 큰 회사들은 여기서 큰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프로세스를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고 사용하기도 힘든 비싼 시스템들을 구축해 사용을 하기는 하지만 효율성 측면에서의 개발문화는 한참 뒤쳐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프로세스는 형식적으로 흐르고 비싼 시스템은 장식물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개발효율로 따지만 주먹구구보다 더 못한 경우도 있지만, 보험의 성격이 있어서 쉽게 포기하지도 못한다.
소프트웨어 회사가 갖추어야 할 시스템, 즉, 조직, 프로세스, 문화, 기반시스템은 교과서에 딱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회사 규모, 성격 등에 따라서 계속 바뀌어 나가야 한다. 부족해도 문제고 과도해도 안된다.
개발자 혼자 회사를 하면 혼자서 모든 것을 다해야 하지만, 10명, 30명, 100명으로 늘 때마다 조직 구성이 달라져야 한다. 하지만 많은 회사들이 큰 규모에 비해서 이런 구분 없이 개발자에게 너무 많은 일을 맡기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보통은 회사가 커지면서, 테스트, 빌드, 시스템관리, 기술지원, 고객지원, 영업지원 등과 같은 일들은 전문조직으로 분리해야 한다. 어려운 점은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규모로 조직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프로세스는 어떤가? 여기에도 극과 극이 있다. 명시적인 프로세스가 아예 없거나 너무 복잡한 경우도 많다. 프로세스는 최대한 단순하고 자유도를 높이면서도 핵심적인 요소들은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또한 회사의 역량이 높아감에 따라서 계속 바뀌게 된다.
많은 회사들이 열악한 개발 문화와 낮은 역량을 비싼 기반시스템이 해결해 줄 것으로 착각한다. 꼭 필요한 기반시스템도 있지만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소수의 필수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적절한 시점에 필요하면 사용하면 된다. 꼭 비싼 시스템이 아니라도 상관없다. 개발자당 연 사용료가 수백, 수천만원하는 종합선물세트 시스템을 구축해 놓고 극히 일부 기능만 쓰는 경우도 많다. 툴로는 결코 문화나 역량을 극복할 수 없다.
반대 경우도 문제인건 마찬가지다. 필수 기반시스템 하나 없이 주먹구구로 개발하는 회사라면 좋은 오픈소스 기반시스템들이 있으므로 잘 선택한뒤 제대로 가이드를 받아 사용하면 된다. 과도한 경우보다는 개선하기가 쉽다.
회사 규모에 맞게 안정적이며 꾸준히 역량을 향상하면서 개발을 하려면 개발자에게만 책임을 지울 것이 아니라 회사가 더 많은 것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꾸준한 투자와 변화는 필수다. 작년과 올해 조직, 프로세스가 똑같고 변화를 위해 투자를 한 것이 하나도 없다면 회사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것이다.
리스크를 줄이고 개발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면 회사가 80%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칼럼은 ZDNet Korean에 기고한 글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