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조직문화는 전문가보다 책임자를 선호한다.
조직의 장이 책임을 지고 모든 일을 알아서 하는 것이다. 상명하복 관계 위주다.
경영자가 SW개발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 누구 한명이 책임지고 개발해줬으면 하는 생각을 하기 쉽다.
전문가를 우대하는 조직에서 조직의 장은 전문가들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계이다. 전문가가 시간이 흐르고 승진을 한다고 해서 관리자가 되지 않는다.
최고 경영층도 사장, 전무, 상무 등의 체제에서, CEO, CTO, CFO, CIO, COO 등의 전문가 체제가 일반화되었다. 일단 용어는 다 익숙한 것으로 보아서 많은 회사에서 전문가 시스템을 시도는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형식적으로 그렇게 이름만 따서 하는 경우가 허다하기는 하다.
공무원들도 외국에서는 한 분야에서 몇십년을 일해서 공무원들도 전문가가 되는데 우리나라는 고인물은 썩는다고 하여 비리를 줄이려고 공무원을 몇년마다 뺑뺑이를 돌린다. 몇년에 한번씩 지역과 보직을 바꾼다. 그래서 비리는 좀 줄었을지 모르지만 전문가를 양성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Software 분야도 마찬가지이다.
개발을 잘하는 개발전문가들이 주도하여 일하는 것이 아니고 조직의 장이 책임을 지고 일하는 방식 위주이다. 여기서 전문성을 별로 존중되지 않는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개발을 적당히 하다가 관리자가 되기도 하고 다른 분야로 마음대로 왔다 갔다. 한다.
이러는 과정에서 가장 큰 손실을 입는 분야가 개발 분야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Guru 급의 개발자들이 매우 부족하다. 모기업에서는 S급의 개발자에게는 사장보다 연봉을 많이 주겠다고는 하지만 찾기도 어렵다. 최고의 Software 전문가가 박사학위를 받은 개발자는 아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가장 큰 손실을 입는 분야가 개발 분야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Guru 급의 개발자들이 매우 부족하다. 모기업에서는 S급의 개발자에게는 사장보다 연봉을 많이 주겠다고는 하지만 찾기도 어렵다. 최고의 Software 전문가가 박사학위를 받은 개발자는 아니다.
Software 프로젝트도 여러 전문가들 이끌어간다. 마케터, 프로젝트매니저, 분석가, 아키텍트, UI전문가, QA전문가, Tech pub. 등등 다양하다.
이들도 전문가로 성장하려면 분야에 따라서 5년, 10년, 20년 경험이 필요하다. 이들이 전문가로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별로 없는 것이 문제다. 그렇게 진로를 보장해 주는 회사도 적을 뿐더러 관리자보다 연봉도 적고 조직내에서 영향력도 적기 때문이다.
경쟁이 그렇게 치열하지 않는 동네 축구 리그에서 전문가가 별로 없어도 그럭저럭 살아남을 수 있다.
즉, 국내 시장에서는 그럭저럭 먹고 살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Global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실력 차이가 너무 크게 나타난다.
개발자들이 개발에 매진할 수 있고 Software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꼭 필요하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고민스러운 부분이다. 그래도 우선 개발자들이 꾸준히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와 사회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개발자들이 개발에 매진할 수 있고 Software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꼭 필요하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고민스러운 부분이다. 그래도 우선 개발자들이 꾸준히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와 사회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