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27일 금요일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는 것은 구식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이 얼마나 발전했는데 아직도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고 개발을 하는가?' 라고 하면서 스펙 작성에 반대하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스펙, 설계를 작성하고 구현을 하고 테스트를 하는 방식으로 개발하는 것을 판에 박힌 절차라고 생각하고 부정하기도 한다.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이 방법은 Waterfall 방식으로 구닥다리이며 요즘은 Agile 등의 최신 방법으로 개발을 하기 때문에 과거처럼 스펙을 작성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반문해보고 싶은 것이 있다.

"스펙을 한번이라도 제대로 작성해 본적이 있는가?" 

이런 생각을 하는 것 자체가 스펙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는 반증이다.
왜냐하면 스펙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면 이런 말이 나올 수가 없다.
지금 그렇게 부정하는 스펙을 작성하지 않아서 개발을 잘하고 있는가? 

99% 이상의 개발자는 죽을 때까지 제대로 된 Waterfall 방식의 개발을 한번도 해볼 기회가 없다. 그러면서도 과거에 Waterfall 방식으로 개발을 했다고 착각을 하는 것이다. Waterfall 방식을 참고하여 약간 응용을 한 것 뿐이다.

Waterfall 방식이 다른 모든 SW 개발 Lifecycle의 모델이 되는 이유는 소프트웨어는 나중에 고치기가 정말로 어렵기 때문이다. 빌딩 올리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즉, 코딩을 다 해놓은 다음에 설계나 스펙을 바꾸는 것은 10배, 100배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다. 아무리 최신 기술을 적용해도 이는 별로 나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그중에서 가장 앞단에 있는 스펙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스펙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필요한 만큼 적절하게 적는 것이다. 단계 별로 작성할 수도 있고, Unit test로 작성할 수도 있고 방법의 선택은 자유이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면 그만인 것이다.

문제는 적는 방법이 아니고 그 내용이다. 대부분 스펙을 작성하지 못하고 어려워하고 반대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스펙에 무엇을 적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잘 적으려고 해도 잘 안되는 것이다. 정리를 잘하고 예쁘게 적는 것은 추후 문제이다.

실제로 필자는 여러 회사의 다양한 프로젝트의 스펙(SRS)를 대신 적어준 경험이 있다. 해당 분야의 Domain 지식이 부족한 나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인터뷰하고 의논해가면서 스펙을 적는다. 대부분은 Domain 지식에 대해서는 훤하지만 스펙에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모르고 있다. 즉, 지식은 있지만 스펙은 모르는 것이다. 스펙을 적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적는 방법을 얘기하면 책 몇권도 모자르기 때문에 여기서 다 적을 수는 없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적어 놓은 스펙을 보고 설계/구현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다.

조금만 더 설명하면 시스템을 기능, UI, Architecture의 뷰로 설명하고 비즈니스 요구사항, 비기능 요구사항 등을 포함해야 한다. 

스펙을 제대로 작성하는다는 것은 수십/수백페이지에 달하는 Template를 채우는 작업이 아니다. 어떤 SW를 만드는 것인지 정의 하는 것이다. 방법은 여러가지고 있고 그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을 부정한다면 무엇을 만들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조건 코딩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2012년 1월 8일 일요일

내가 개발에 집중할 수 없는 이유

우리나라에서는 개발자들이 개발에 집중할 수 없는 환경인 곳이 참 많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 결정적인 이유는 개발자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다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원래는 이렇게 개발자가 다해야 하는 상황은 One Man Company에서나 벌어지는 상황이어야 한다.
하지만 작은 벤처 기업이나 거대한 대기업이나 개발자가 수십명이나 또는 수백명 있어도 One Man Company에서 벌어지는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럼 왜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해야 하는가?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것이 다른 일도 해가면서 적당히 해 나간다고 해서 잘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개발만 10년, 20년을 집중해야 잘할 수 있는 분야다.
개발 외에 다른 일도 다 하면서 개발도 잘한다고? 그러면 정말 천재이거나, 자기 자신을 과대평가하거나, 지금은 그럭저럭 잘하기는 하지만 개발에 집중했으면 더 잘했을 경우 일 것이다. 

그럼 어떠한 일들이 개발자들이 개발에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가?

첫째, 마케팅의 부재다.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제품 비전만 툭 던져 놓고 나머지는 다 개발자가 알아서 해야 한다.
개발할 제품이 딱 정해지면 Architecture 연구하고 Technology 공부하기 바쁜 개발자가, 고객 인터뷰도 해야 하고 경쟁회사 동향도 파악해야 하고, 회사에서 서로 다른 얘기하고 있는 사람들 다시 만나서 제품의 비전부터 다시 정해야 한다.
또, 마케팅은 온갖 요구사항 다 합쳐 놓은 Kitchen sink를 가져다주고 기획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개발에 실패를 하기도 하고 개발을 했어도 가치가 없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결국 고생은 개발자가 다하고 욕도 개발자가 다 먹는다.

둘째, 다음은 Technical support의 부재이다.

개발자가 가장 잘 안다는 이유로 개발자가 기술지원을 해야 한다.
가끔은 고객 사이트에서의 장애에 대한 사과를 하러 개발자가 직접 방문을 해야 한다. 이유는 고객이 화가 나서 개발자가 직접와서 사과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영업이 주장하기 때문이다. 밖에서 발생한 모든 문제의 책임을 직접 개발자 돌리는 것이다. 코미디가 아닐 수 없다. 
영업은 이런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모든 책임을 개발자에게 돌리는데 성공을 했다. 정상적인 영업이라면 이런 터무니 없는 요구는 애초에 막았어야 하는 것이다.
설령 개발자가 1차적인 책임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런 일로 개발자가 사과를 한다는 것은 회사에게 훨씬 더 큰 손해를 끼치게 된다. 
이렇게 밖으로 내둘리는 개발자는 개발 실력보다는 남 비위 맞추는 실력이나 늘고, 소프트웨어 개발에 염증을 느끼게 된다.

셋째,  QA의 부재 또는 부족이다.
 
QA담당자가 없는 경우가 많고 제대로 된 기획, 스펙 없이 개발을 하다보니 제품의 기능을 개발자밖에 몰라서 개발자가 테스트를 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는 팀장, 기획자 등 여러 관련자들이 다 테스트에 동참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전문성을 무시하는 것이고 아주 작은 회사에서나 있을법한 일이다.
개발자는 개발하기도 바쁘고 할 일도 많다. 또한 마케팅, 기술지원, QA는 잘 하지도 못한다.
개발자는 개발에 집중해야 밥값을 하는 것이다. 다른 일을 하느라고 개발할 시간이 부족하다면 …

이럴 때 개발자는 경영자에게 꾸준히 주지 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경영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서 개발자가 왜 개발에 집중해야 하고 조직이 전문화 되어야 하는지 잘 모른다. 그러기 때문에 경영자가 알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CTO가 있다면 이런 일은 벌어지지 않고 이런 일이 벌어진다고 해도 CTO가 다른 경영자를 설득하여 이를 해결해 줄 것이다.
그래서 개발자는 좋은 환경을 찾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연봉을 약간 많이 주더라도 제대로 일하고 성장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개발자에게 그리 좋은 직장은 아니다.   

즐겁게 개발하면서 개발자로 크게 성장하고 개발자로서 가치를 높이고 개발자로 은퇴하고 싶다면 개발자가 일할만한 직장에서 일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회사를 찾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나의 미션 중의 하나가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이고, 개발자가 일할만한 소프트웨어 회사가 점점 늘어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