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14일 월요일

프로토타입을 재활용하면 될까? 안될까?

며칠 전 프로토타입에 관해 올린 글에 대해서 프로토타입 재사용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있어서 이 내용에 대해서 조금더 설명해보려고 한다.

2011/11/03 - [프로젝트/요구사항분석] - 프로토타입이란?

소프트웨어공학의 목적은 가장 적은 비용으로 가장 빠른 시간에 Software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여기에 부합되면 옳은 방법인 것이다. 하지만 우물 안에서 자신의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우기는 것은 미숙함일 뿐이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었지만 모두 옳고 그름으로 구분 지을 수는 없다. 여러 답변들을 맞다 틀리다 얘기를 할 수 없으므로 좀더 원칙에 치중해서 얘기를 해보겠다.

필자의 의견은 프로토타입은 만들어 보고 버리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버리는 코드라고 생각하고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프로토타입을 버리는 것이 프로젝트를 가장 빨리 끝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프로토타입의 목적은 가장 빠른 시간내에 Feaserbility study(실현가능성 검증)을 하는 것이다. 보통 실제 프로젝트에 반영될 때 제대로 적히는 소스코드 양의 20%정도의 코드만 적는다. 
  • 보통 에러처리와 약간의 버그는 무시한다.
  • 검증된 것은 스펙에 기능으로 포함될 수 있고 이렇게 작성된 스펙을 외주를 줘서 개발할 수도 있고 회사의 다른 개발자들이 설계, 구현을 할 수도 있다.
  • 이렇게 검증된 기능들은 모두 제품에 반영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기능은 최종 스펙에서 제외 될 수가 있다.
  • 프로토타입은 C언어로 했지만 실제 개발은 Java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재사용 가능하도록 만든다면 낭비가 될 수 있다.
보통 개발자들은 자신이 정성들여서 만들어 놓은 소스코들 버리기 싫어한다. 그래서 어떻게든 소스코드를 재활용해보고자 노력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제품의 비전이나 가치와는 상관없이 자신이 작성해 놓은 코드의 기능을 살려보고자 마케팅의 의견과 반대되게 우겨서 제품에 기능을 포함하기도 한다.

제품의 스펙은 개발자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부서가 같이 정하는 것이지만 특히 개발자보다는 마케팅의 의견이 주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개발자가 미리 잘 작성해 놓은 코드가 이런 결정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의 마케팅은 별 생각이 없기 때문에 그냥 따라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럼 프로토타입을 재사용한다는 생각을 하고 만들게 되는 상황은 어떠한가?
이러한 가정들을 사실로 생각하고 개발을 하는 것이다.

  • 내가 스펙을 쓰고 설계를 하고 구현까지 모두 나 혼자 다한다.
  • 프로토타입을 해본 것들은 제품에 모두 포함될 기능들이다.
  • 프로토타입 해본 그 기능 그대로 제품에 반영될 것이다.
  • 프로토타입을 해본 개발 언어 그대로 제품을 개발할 것이다.
  • 프로토타입을 하기 전에 이미 아키텍처도 다 정해서 재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안된다.
 사실 아주 작은 제품이나 소수의 팀이 개발하는 제품이 아니라면 위의 모든 것을 가정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스펙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수많이 기능이 추가되고 제거되며 무슨 개발 언어로 개발을 할 것인지 보통 스펙을 작성할 때는 정하지도 않는다. 

어떠한 프로토타입은 개발언어를 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라이브러리도 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라면 프로젝트에 또 제약사항이 생긴 것이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스펙단계부터 개발언어와 특정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도록 정하는 경우도 있다.

스펙을 제대로 작성해야 하는 이유가 이러한 가능성이 있는 수많은 요소들과 제약사항, 가정들을 모아놓고 스펙을 정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을 정하지도 않고 코딩부터 시작하는 것이 흔히 개발하는 방식이다.

이런 프로젝트는 개발자 의지대로 그냥 개발이 되던가 나중에 뒤엎는라고 비용가 시간을 낭비하던가 제품이 점점 뒤죽박죽이 되어서 못써먹게 되는 경우가 많다.

프로토타입을 재활용할지 말지 하나의 이슈만 보면 원칙은 재활용하지 않는 것이 맞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것들을 모두 알고 스펙도 제대로 쓰고 설계도 제대로 하고 개발을 하는데 재활용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면 프로토타입재사용도 틀린 방법은 아니다.

단, 적은 경험과 미숙함을 기반으로 기존에 하던 방식을 그냥 따라하는 것은 주먹구구의 연장선이 될 수 있다.

2011년 11월 3일 목요일

프로토타입이란?

프로토타입 (경제/경영)

양산(量産)에 앞서 제작해보는 원형(原型)을 '프로토타입'이라 하는데, 프로토타이핑이란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의 의사소통상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취하는 시스템개발상의 기법이다. 일반적인 분석방법을 취할 경우 양자간에 서로 다른 이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프로토타입이라는 의사소통도구를 만들자는 것이다. 프로토타이핑은 그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by 다음 백과사전 (http://100.daum.net)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때 프로토타입은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고객과 스펙을 의논할 때 고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UI프로토타입을 만든다. 

이외에도 기술적인 검증을 위해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보는 경우도 있다.
스펙을 작성하다보면 이것이 가능할지 불가능할지 잘 모른 경우가 있다. 스펙이 이렇게 불분명한 부분이 가득하다면 십중팔구 프로젝트는 산으로 갈 것이다.

그래서 스펙을 쓰면서 나중에 코딩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한번 만들어보는 것이다. 이렇게 만드는 프로토타입은 되는지 안되는지만 검증을 하는 것이므로 최대한 간단하게 만든다.

회사의 코딩 규칙을 따르지도 않고
에러 처리도 제대로 하지 않고
주석도 달 필요가 없다.

제대로 개발하려면 1주일 이상 걸릴 것도 몇시간에 걸쳐서 되는지만 확인해보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때 작성한 소스코드는 버리는 것이다. 절대 재활용하면 안된다. 규칙도 따르지 않고 에러처리도 안되고 주석도 없는 코드를 재활용하는 것은 대단히 불안한 일이다.

이렇게 검증을 해나가면서 스펙을 적으면 프로젝트가 계획된 시간에 끝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게 된다.

그렇다고 모든 내용을 다 검증해가면서 스펙을 적을 수는 없다. 어떤 항목은 된다는 감을 믿고 그냥 적어야 할 때도 있다. 모든 것을 다 검증하면 비용과 시간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증할 것을 적당히 조율하면서 어느정도 Risk도 감수를 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 이때 발생한 Risk는 별도의 Risk 관리를 통해서 제어를 해야 한다.

프로젝트는 "해봤더니 안되더라"가 아니다.
그렇다고 모든 것을 검증하면서 할 수는 더욱 없다.
적절한 프로토타입을 통한 검증과 적절한 Risk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2011년 11월 1일 화요일

같이 일하려면 적어라.

"협업은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로 하는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개발자들은 적는 것을 싫어하고 또 잘 적지 못한다.

우리나라 개발자들은 그 정도가 훨씬 심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회사가 크던 작던 상관없이 대부분 5년, 10년 개발한 제품도 변변한 문서가 하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만 보더라도 협업의 수준이 얼마나 낮은지 알 수 있다.

협업이란
  1. 여러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의 도움을 받고
  2. 서로 머리를 더해서 더 좋은 생각을 이끌어내 내고 
  3. 일을 서로 나눠서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협업을 하는데 있어서 Template은 중요하지 않다. 협업이 필요한 내용이 공유를 할 수 있을 만큼만 적히면 된다. 적힌 것이 있어야 서로 공유를 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만약 적히지 않고 머리 속에 있는 내용을 공유하려면 매번 말로 설명하는 수밖에 없다. 얼마나 피곤한 일인가. 또한 본인도 기억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대표적으로 스펙과 설계는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스펙과 설계를 제대로 적지 않고 리뷰를 하면서 계속 발전시켜나갈 수 없다. 한사람의 머리속으로 기억을 하면서 말로 공유를 하면 일을 서로 나눠서 개발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때 변변한 문서도 없이 여러명이서 나눠서 개발을 잘도 한다. 물론 효율적으로 협업이 되지 않는다. 스펙과 설계가 불명확하여 개발자들이 코딩할 때 다 알아서 하고 나중에 통합도 잘 안된다. 스펙과 설계를 적기가 어려워서 최근에는 Agile 방법론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이것도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뭔가 적어야 할 때 Template을 꺼내놓고 틀에 맞춰서 적으려고 고민하기 보다는 서로 협의하고 확인을 받아야 하고 도움을 받아야 할 내용들을 적어서 수시로 리뷰를 하면서 진행을 해보라. Text 에디터로 Plain text로 적어도 아무 상관이 없다. 이렇게 효과적으로 적고 협업을 자주 하다보면 스펙과 설계를 어떻게 적어야 효과적으로 프로젝트가 진행이 될지 조금씸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