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6일 화요일

SW개발과 규칙의 두얼굴 (개발문화 시리즈6)

이번 개발문화 이야기는 '규칙 준수 문화'다. 

우리 주변에서 규칙을 무시하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듯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도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일은 자주 벌어진다. 물론 규칙을 정말 상세히 정하고 모든 사람이 규칙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고 더 잘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 강조하지만 규칙은 최소한으로 정해야 하고 성숙된 개발문화에 의한 개발이 더 효율적이다. 그래도 규칙은 지켜야 하며 지킬 수 있고 지켰을 때 개발 효율이 최대화 되는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그럼 규칙을 무시하는 현상이 자주 벌어지는 이유를 살펴보자. 

첫째, 규칙을 지키지 않는 개발자들이 있다. 

보통 회사의 최고 개발자들에게서 종종 벌어지는 현상이다. 소수의 개발자들에게 목을 메고 있는 회사들은 그런 개발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개발을 하던지 그냥 놔두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핑계는 있다. 규칙을 따르면 짧은 기간 안에 개발을 끝낼 수가 없고 자신들이 최고이기 때문에 누가 도와줄 수도 없다고 한다. 

그러면서 프로세스를 따르지도 않고 문서도 안 만들면서 내용을 공유하지도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회사에서 규칙은 평범한 개발자들만 따라야 하는 형식적인 것이 되기 쉽다. 이런 과정에서 특정 개발자에 대한 종속성은 계속 커지고 개발 문화는 후퇴하게 된다. 결국 규칙은 있지만 실상은 주먹구구식으로 개발을 하는 것과 비슷하게 된다. 

둘째, 규칙이 너무 복잡하고 많은 경우이다. 

큰 회사일수록 자주 벌어지는 현상이다. 규칙이 회사 역량에 비해서 너무 많고 자세한 경우다. 세계적인 방법론을 흉내낼 때 종종 나타나며, 문제가 벌어질 때마다 규칙을 계속 추가하다 보면 규칙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 이런 조직은 관료화되어 규칙자체가 목적으로 변질된다. 원래 목적인 '소프트웨어를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하자'는 원칙과 거리가 먼 규칙을 지키기 위해서 앞뒤 가리지 않게 된다. 

결국 개발자들은 이런 규칙을 다 따르고는 도저히 개발이 안되므로 형식적으로 흉내만 내고 피해 다니는 요령을 키우게 된다. 개발 효율성은 오히려 주먹구구식 개발보다 떨어지곤 한다. 규칙은 꼭 필요한 것으로 최소화하고 개발문화와 절묘한 조화를 이뤄야 한다. 

셋째, 경영자들이 규칙을 무시하는 현상이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규칙을 정해 놓고 경영자들이 무시하는 것이다. 경영자들은 프로세스를 무시하고 아무 때나 요구사항을 뒤집고 자신이 전문이 아닌 기술적인 결정에 관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왕적인 경영자가 워낙 많아 법은 있지만 왕은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작은 회사들은 이런 경영자의 통찰력과 빠른 판단이 회사를 성장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회사가 커지고 전문화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벌어지는 전문적인 분야에 대해서 한 경영자가 전문가보다 잘 알 수는 없다. 자칫 개발 과정에서 경영자의 개인적인 취향을 강요하는 현상이 벌어질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규칙과 법을 초월해야 더 막강한 권한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런 일들이 더 자주 벌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결론은 꼭 지킬 수 있는 최소한의 규칙을 만들고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너무 복잡하다. 산출물도 너무 많고 경직되어 있다. 중간에 승인절차가 너무 많은 경우도 수두룩하다. 

회사 성격에 따라서 필요한 프로세스가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프로세스가 좀더 효율적으로 간단해질 필요는 있다. 그러면서 꼭 필요한 규칙은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보자. 코딩 컨벤션이 정해져 있다면 자신의 코딩 스타일과 달라도 따라야 하는 것이다. 공유도 규칙으로 강제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소스코드 커밋(Commit)시 메시지는 몇줄 이상 남기고 소스코드에 주석은 몇줄에 한번씩은 남겨야 한다는 식으로 규칙을 정하면 형식에 치우칠 우려도 있고 자칫 효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 

서로 리뷰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개선해나가면 되는데 리뷰를 안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그래서 리뷰는 일주일에 두번씩 한다고 하거나 소스코드 커밋(Commit)시 70% 이상은 리뷰를 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규칙을 정해 놓으면 또 효율성은 떨어진다. 

아주 단편적인 몇가지 예만 들었지만 뭔가 안된다고 자꾸 규칙을 늘리면 규칙을 피해가는 부작용이 또 발생하므로 적절하게 균형을 맞춰서 개발문화를 성숙시키는데 더 노력해야 한다. 자칫하면 말도 안되는 규칙만 점점 늘게 된다. 규칙에 의한 제한보다는 '권장', '독려', '포상' 등이 더 효율적이다. 

이렇게 원래 목적과 점점 거리가 먼 규칙이 자꾸 늘어가는 이유는 효율적인 개발문화 환경에서 개발을 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자꾸 규칙을 만들기 때문이다. 아무리 소프트웨어 이론을 많이 안다고 해서 효율적인 개발 규칙을 만들 수는 없다. 

가장 좋은 방법은 그런 경험이 많은 개발자들은 회사에 합류시켜서 성숙된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문화를 글로 배울 수 없듯이 경험자들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기억해야 할 것은 규칙으로 결코 소프트웨어 개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성숙된 개발문화를 형성하는데 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글은 ZDNet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